카드 先포인트 이용자, 절반은 현금으로 메꿔
입력
수정
지면A10
先포인트 제도 알고 쓰자!
70만원 받아 쓰면 3년간 매달 156만원 카드 긁어야
"저리 할부라 부담 작지만 서비스 단점도 설명해줘야"

◆신한·삼성, 현금 상환 절반 넘어금융감독원이 26일 황주홍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간 카드사들의 선포인트 취급액은 2조6709억원으로 이 중 48.1%인 1조2865억원이 현금으로 상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현금 상환액은 2011년 4486억원(45.4%), 2012년 4482억원(46.4%), 2013년 3896억원(45.9%)이었다. 올 들어선 9월까지 2284억원(43.7%)이 현금으로 상환됐다.
특히 신한·삼성·KB국민카드 등 주요 카드사는 지난 3년간 선포인트 현금 상환율이 50%를 넘었다. 신한카드는 이 기간에 9720억원의 선포인트를 취급했으나 이 중 52.9%(5146억원)가 현금 상환됐다. 삼성카드와 KB국민카드의 현금 상환율도 각각 50.5%와 63.6%를 기록했다.
선포인트제는 카드사에서 미리 지급받은 포인트로 물건을 구매한 뒤 카드 사용실적에 따라 쌓이는 포인트로 갚아 나가는 서비스다. 당장 목돈이 없더라도 고가의 물건을 ‘공짜’ 내지 ‘반값’에 살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나중에 포인트를 갚으려면 카드를 한 달에 100만원 이상 사용해야 한다.선포인트 서비스 최대 이용금액인 70만원을 사용한 뒤 36개월 동안 이를 갚는다고 가정하면 평균 카드 포인트 적립률(1.25%)과 선지급포인트 수수료율(6.3%)를 고려했을 때 월평균 156만원을 써야 한다. 처음엔 공짜처럼 물건을 샀다가 나중에 다시 현금으로 갚아야 할 수도 있는 구조다.
◆민원 여전…불완전판매 줄여야
선포인트 관련 민원이 잇따르자 금융당국은 제도 개선을 유도해 왔다. 2010년 선포인트제 최대 이용금액을 100만원에서 70만원으로 줄였다. 상환기간도 최대 60개월에서 36개월로 축소했다. 카드 제휴사들이 선포인트제가 적용되는 물품을 판매할 때 ‘할인’ 또는 ‘선할인’이란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이 덕분에 선포인트 현금상환 비중은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선포인트를 활용한 마케팅은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대상이 냉장고 TV 등 고가 전자제품 위주에서 휴대폰 등으로 이동했을 뿐이다. 카드사로선 매달 일정액을 사용하는 선포인트제 이용고객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포인트 전액 상환을 위한 월별 카드 이용금액 등을 소비자에게 충분히 고지하지 않는 등 불완전판매가 여전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카드사 관계자는 “선포인트제는 장기간 저리 할부가 가능해 소비자 부담을 줄여주는 좋은 제도”라며 “다만 현금상환 가능성에 대해 충분히 고지하는 등 불완전판매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지훈 기자 liz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