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산업' 중심 사업재편…LIG, 재기 신호탄을 쐈다
입력
수정
지면A14
2011년 CP 사건으로 회장 일가 사법처리
그룹 공중분해 위기맞아
남영우 (주)LIG 사장 주도…그룹 발전방향 재구축
1분기 손보 매각 마무리…경쟁력 강화 투자 확대
![](https://img.hankyung.com/photo/201501/AA.9495996.1.jpg)
LIG그룹은 최근 서울 합정동 본사에서 남영우 (주)LIG 사장(사진) 등 계열사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뉴(new) LIG 발전방향 공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LIG 경영진은 올 1분기 LIG손해보험 매각 절차를 마무리하는 데 맞춰 사업구조를 금융에서 방위산업 중심으로 재편하고, 2018년까지 매출을 두 배로 높인다는 목표를 제시했다.○2018년 방산 위주로 재편
LIG 발전 방향에 대한 이번 논의는 위기에 몰린 그룹의 재기를 위한 신호탄이다. 재기를 주도하는 건 남 사장이다. 그는 LG전자 경영혁신부문장 출신으로 작년 3월 (주)LIG로 자리를 옮겼다.
남 사장 주도로 만든 ‘그룹 발전방향’은 그룹 사업 포트폴리오를 방위산업 중심으로 재편하겠다는 게 핵심이다.LIG손해보험 등 금융계열사 매각 이후 △방위산업(LIG넥스원) △시스템통합(LIG시스템) △유통서비스(휴세코) 등 세 분야를 주축으로 사업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그룹 관계자는 “당분간 그룹 매출 1조7000억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LIG넥스원을 중심으로 방위산업에 주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501/AA.9497723.1.jpg)
또 2500여명의 정밀전자, 정보기술(IT) 분야 연구인력을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신규 투자와 인력은 LIG넥스원의 정밀전자·유도무기 분야 경쟁력을 높이는 데 투입할 방침이다.LIG그룹은 사업재편과 신규 투자를 통해 그룹 매출을 1조7000억원에서 2018년 3조6000억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7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세 배가량 늘린다는 계획이다.
○계열사 17개→3개사로 축소
LIG그룹에 지난 3년은 악몽과도 같았다. 2011년 초 LIG건설이 법정관리 신청을 앞두고 수백억원대 기업어음을 발행한 게 발단이었다. 이 사건으로 구자원 회장과 두 아들인 구본상 LIG넥스원 부회장, 구본엽 LIG건설 부사장 등이 검찰 조사를 받은 뒤 2013년 실형을 선고받았다.결국 2013년 11월 구 회장은 주력계열사인 LIG손해보험을 팔아 투자자 손실을 보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LIG손해보험은 12조원(2013년 기준)에 달하는 그룹 전체 매출의 80%를 올리는 핵심 계열사이자 그룹의 모태인 회사다. 그런 회사를 팔겠다는 건 사실상 그룹 해체나 다름없는 결정이었다. 구 회장과 두 아들은 작년 7월 대법원 최종판결이 나온 직후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
그룹 외형도 급격히 축소됐다. LIG그룹은 지난해 6월 KB금융지주와 LIG손해보험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또 LIG투자증권, LIG자동차손해보험사정, LIG투자자문 등 금융 계열사도 동시에 매각하기로 방침을 정했다.올 1분기 계열사 매각이 확정되면 그룹 매출은 12조원에서 1조7000억원으로, 계열사는 17개사에서 LIG넥스원 등 3개사로 줄어든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