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경영키워드] 연료전지 등 미래사업 강화…경기회복기 대비
입력
수정
지면B6


두산은 지난해 전통적 제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사업 영역을 넓혔다. 두산중공업은 창원 본사에 발전소 원격관리 서비스센터(RMSC)를 개설한 데 이어 서울 사무소에 소프트웨어센터를 열었다. 발전소 주기기를 공급하는 두산중공업이 직접 원격관리서비스를 담당하기 때문에 축적된 운전 데이터를 활용해 개선 사항을 설계에 반영하고 예방 정비가 가능하다.
두산중공업은 두 센터의 역량과 기존 발전설비 설계·제작·정비·서비스 사업 등을 연계해 세계 발전서비스 시장에서 입지를 더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두산인프라코어도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사업 구조를 수익성을 내는 방향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품질관리 범위를 서비스 및 협력업체로까지 확대하고, 강화되는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는 고부가가치 제품군 개발에도 나서기로 했다.박 회장은 ‘스타 프로젝트’와 관련, “세계 최고 수준에 오르기 위해 흘린 땀의 결실을 올해부터 수확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생산, 영업, 품질 등 모든 분야에서 각자의 작업을 완수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두산은 지난해 국내 주택용 연료전지시장 선도업체인 퓨얼셀파워를 합병한 데 이어 건물용 연료전지 원천기술 보유업체인 미국 클리어에지파워를 인수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