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이어 건보료·국민연금 '뇌관'
입력
수정
지면A1
설계 부실·수요증가 겹쳐
건보재정 내년 적자전환

25일 건강보험정책연구원과 국회예산정책처 등에 따르면 건강보험 재정은 2016년 적자로 전환돼 2050년엔 적자 규모가 102조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국민연금기금도 2038년 적자로 돌아선 후 2053년엔 완전히 고갈될 것으로 전망됐다.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 속에 혜택을 받는 사람은 늘어나는 데 반해 부담을 지는 사람은 줄어들기 때문이다.앞으로 의료복지, 노후복지가 지금보다 더 늘어날 것임을 고려하면 국민연금과 건강보험의 재정 고갈 시기는 앞당겨질 수도 있다. 박근혜 정부는 대표적인 국정과제로 4대 중증질환의 보장성 강화 등 의료복지를 내세웠다.
반면 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운영체계는 허술하다는 지적이다. 직장가입자에 얹혀있는 건강보험 피부양자만 2000만명에 이른다. 고액 자산가도 건강보험 무임승차를 허용하는 느슨한 피부양자 기준 때문이다. 2013년 국민연금기금의 운용수익률은 연 4.2%로 세계 6대 연기금 과 비교했을 때 확연히 낮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도 지난해 10월 “현재 수준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유지하려고만 해도 (월소득의 9%인)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14%로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험료가 오를 경우 ‘사실상 증세’라는 국민의 반발이 예상된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