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3, 4학년 1500명 기업 현장실습 나간다
입력
수정
지면A29
일·학습병행제 대학 10곳 공모그동안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진행해온 한국식 도제제도인 일학습병행제가 4년제 대학으로 확대된다. 대학 3, 4학년 학생 1500여명이 기업체에서 월급을 받으면서 현장실습을 하고 학점을 이수하는 것이다.
대학교육→직업교육 '신호탄'
고용노동부는 대학과 기업 간 인력 수급 불일치 현상을 줄이고자 올해 4년제 대학 10곳을 선정해 ‘대학형 일학습병행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대학형 일학습병행제는 한국기술교육대가 2012년부터 대학 교육 과정의 1년 이상을 산업현장 실무경험을 통해 이수하도록 한 장기현장실습제(IPP)를 확대한 것이다. 이는 그동안 고교·전문대를 중심으로 진행해온 일학습병행제를 4년제 대학으로 전면 확대하기 위한 정지작업으로, 정부는 향후 대학 교육 과정을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새로운 직업자격 과정으로 점차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고용부는 수도권 3~4개교, 지방 6~7개교를 선정해 학교당 연간 10억원 안팎의 운영 예산을 최대 5년간 지원한다. 학교별로 150명(3,4학년 중심, 이공계열 및 상경계열) 안팎의 학생은 500여개 기업에 파견돼 전공 관련 분야에서 4~6개월간 현장실습을 한다. 실습 분야는 연구개발, 생산기술, 품질관리, 설계, 마케팅, 영업관리, 인사, 구매, 경영지원 등이다.
이재흥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대학형 일학습병행제는 고교생을 중심으로 한 스위스 도제식 직업학교와 함께 대학 교육도 산업현장 중심으로 개편하는 촉진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한기대 총장을 지내다 지난해 7월 취임한 이기권 고용부 장관은 85%가 넘는 한기대의 높은 취업률 비결로 장기현장실습제를 꼽았다.
세종=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