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심리 '실종'…100만원 남아도 72만원만 썼다
입력
수정
경기 악화로 지갑을 닫으면서 지난해 평균 소비성향(소득에 대한 소비의 비율)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소비가 전반적으로 위축된데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후를 대비해야 한다는 불안감에 돈을 벌어도 쉽게 쓰지 못해서다.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4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전년보다 0.4%p 하락했다. 소비성향을 집계한 2003년 이후 최저치. 평균소비성향은 반드시 지출해야 하는 세금·건강보험료 등을 빼고 남은 가계의 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이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가계가 쓸 수 있는 돈이 100만원이었다면 72만9000원만 쓰고 나머지는 저축했다는 뜻이다. 평균소비성향은 2009년 76.6%에서 2010년 77.3%로 높아진 뒤 2011년 76.7%, 2012년 74.1%, 2013년 73.4% 등으로 4년 연속 떨어졌다.
소비성향이 낮아지는 주된 이유로는 고령화와 경기 회복세 둔화에 따른 소비 위축이 꼽힌다.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의 평균소비성향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하위 0∼20%인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은 104.1%로 1년 전보다 7.8%p 감소했다.반면, 상위 0∼20%인 5분위는 61.6%로 0.4%p 증가했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지난해 5.6% 늘어 5개 분위 가운데 증가율이 가장 높았지만, 해당 가구의 평균 연령이 계속해서 높아진 탓에 소비지출은 0.1% 줄어 나타난 현상이다.
가계지출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세금·연금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의 증가세다. 지난해 가계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80만5000원으로 전년보다 3.0% 늘었다. 가계는 평균적으로 번 돈의 20% 정도를 세금·연금·사회보험·이자비용 등으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근로소득세·재산세·사업소득세 등 가계에 부과되는 직접세인 경상조세 지출이 월평균 13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5.8% 증가했다. 지난해 취업자 증가와 임금 상승, 2013년 세법 개정에 따른 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 최고세율(38%) 과표구간 조정 등에 따른 결과다. 고령화로 보험과 연금 가입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회보험(7.2%), 연금(5.4%)에 대한 지출도 늘었다.가계의 소비심리가 쉽사리 풀리지 않으면서 흑자 규모와 흑자율은 역대 최고치가 됐다.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다. 지난해 월평균 가계흑자액은 94만6800원으로 전년보다 46만6000원 늘었다. 흑자율은 26.6%에서 27.1%로 증가했다. 가계 소비성향과 흑자율이 높아지는 것은 소득이 큰 폭으로 증가해서라기보다는 벌어들인 만큼 쓰지 않아서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0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3.4% 늘어났다.
이자율이 떨어져 재산소득(-3.1%)은 감소했다. 월평균 가계지출은 335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2.9% 늘어 소득 증가율에 미치지 못했다. 가계지출에서 세금·연금·보험료 등을 뺀 소비지출은 월평균 2.8% 늘어 2013년(0.9%)보다는 증가율이 크게 확대됐다.그러나 분기별로 따진 가계 소비지출 증가율은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0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정부는 정책 변수와 기저 효과 등으로 작년 4분기 소비가 일시적으로 부진했다면서 추세적으로는 소비 개선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소비가 전반적으로 위축된데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후를 대비해야 한다는 불안감에 돈을 벌어도 쉽게 쓰지 못해서다.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4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평균소비성향은 72.9%로 전년보다 0.4%p 하락했다. 소비성향을 집계한 2003년 이후 최저치. 평균소비성향은 반드시 지출해야 하는 세금·건강보험료 등을 빼고 남은 가계의 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이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가계가 쓸 수 있는 돈이 100만원이었다면 72만9000원만 쓰고 나머지는 저축했다는 뜻이다. 평균소비성향은 2009년 76.6%에서 2010년 77.3%로 높아진 뒤 2011년 76.7%, 2012년 74.1%, 2013년 73.4% 등으로 4년 연속 떨어졌다.
소비성향이 낮아지는 주된 이유로는 고령화와 경기 회복세 둔화에 따른 소비 위축이 꼽힌다.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의 평균소비성향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 하위 0∼20%인 1분위의 평균소비성향은 104.1%로 1년 전보다 7.8%p 감소했다.반면, 상위 0∼20%인 5분위는 61.6%로 0.4%p 증가했다. 1분위 가구의 소득은 지난해 5.6% 늘어 5개 분위 가운데 증가율이 가장 높았지만, 해당 가구의 평균 연령이 계속해서 높아진 탓에 소비지출은 0.1% 줄어 나타난 현상이다.
가계지출 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세금·연금 등이 포함된 비소비지출의 증가세다. 지난해 가계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80만5000원으로 전년보다 3.0% 늘었다. 가계는 평균적으로 번 돈의 20% 정도를 세금·연금·사회보험·이자비용 등으로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근로소득세·재산세·사업소득세 등 가계에 부과되는 직접세인 경상조세 지출이 월평균 13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5.8% 증가했다. 지난해 취업자 증가와 임금 상승, 2013년 세법 개정에 따른 소득공제의 세액공제 전환, 최고세율(38%) 과표구간 조정 등에 따른 결과다. 고령화로 보험과 연금 가입률이 높아짐에 따라 사회보험(7.2%), 연금(5.4%)에 대한 지출도 늘었다.가계의 소비심리가 쉽사리 풀리지 않으면서 흑자 규모와 흑자율은 역대 최고치가 됐다.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다. 지난해 월평균 가계흑자액은 94만6800원으로 전년보다 46만6000원 늘었다. 흑자율은 26.6%에서 27.1%로 증가했다. 가계 소비성향과 흑자율이 높아지는 것은 소득이 큰 폭으로 증가해서라기보다는 벌어들인 만큼 쓰지 않아서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0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3.4% 늘어났다.
이자율이 떨어져 재산소득(-3.1%)은 감소했다. 월평균 가계지출은 335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2.9% 늘어 소득 증가율에 미치지 못했다. 가계지출에서 세금·연금·보험료 등을 뺀 소비지출은 월평균 2.8% 늘어 2013년(0.9%)보다는 증가율이 크게 확대됐다.그러나 분기별로 따진 가계 소비지출 증가율은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50만6000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정부는 정책 변수와 기저 효과 등으로 작년 4분기 소비가 일시적으로 부진했다면서 추세적으로는 소비 개선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