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박스피가 만든 '슈퍼스타 ELS'
입력
수정
지면A21
年 5% 수익 '시시한 상품'의 재테크 역전 스토리주가연계증권(ELS)이 시장의 주목을 받은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주가가 폭락했을 때부터다. ‘주가가 떨어져도 안정적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최근 ELS에 자금이 몰리는 것 역시 국내 주식시장이 단기간 크게 못 오를 것으로 전망하는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예금 금리 1%대의 저금리 기조도 연 5~6%대의 ELS 기대수익률을 돋보이게 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익률에 한계가 있는데도 돈이 몰리는 것은 현재 시장 상황에서 ELS보다 나은 상품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라며 “시장 침체가 아이러니하게도 ELS를 스타상품으로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재테크 왕좌 꿰찬 ELS
증시 박스권 갇힌 2011년부터 주식형펀드에 실망한 투자자들
돈 넣기 시작…年평균 40% 성장
기초자산 하락해도 수익낼 수 있어
대박 상품 아닌 '이자+알파'…종목형 ELS는 원금손실 주의
◆박스피에 반사이익ELS의 인기는 코스피지수가 1800~2000포인트 사이의 박스권에 갇히기 시작한 2011년부터 커졌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2010년 말 17조2049억원이었던 ELS 발행 잔액은 2011년 말 1년 만에 29조5707억원으로 불어났다. 이후에도 ELS 시장 규모는 연 평균 40% 이상씩 급증하며 현재 59조5674억원까지 커졌다.
유가증권시장 침체로 국내 주식형펀드가 좀처럼 힘을 못 썼기 때문이다.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공모 주식형펀드의 최근 5년 누적 평균 수익률은 19.72%다. 연평균 4%의 수익률도 못 거둔 셈이다. 특히 최근 3년 사이엔 국내 주식형펀드가 -1.8%의 누적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김철배 금융투자협회 집합투자본부장은 “현재 국내 주식형펀드의 순자산이 설정액보다 적다는 것은 결국 손해를 본 펀드 투자자들이 아직 존재한다는 뜻”이라며 “펀드에 실망한 투자자들이 환매한 자금을 ELS 같은 다른 상품에 넣고 있다”고 분석했다.◆5%대 수익률 부각
때마침 불어닥친 글로벌 금리 인하 기조로 시중 금리가 1~2%대로 하락한 것도 ELS 인기에 한몫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지수형’ ELS는 5.88~7.88%의 평균 상환 수익률을 기록하며 ‘시중금리+알파’라는 투자자들의 목적을 달성했다. NH투자증권의 한 프라이빗뱅커(PB)는 “금리가 2%대 이하로 떨어지기 전까지만 해도 안정적인 성향의 고액 자산가들은 ELS에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며 “은행예금에 넣어두면 손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가진 ELS에 돈을 넣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큰코다칠 수도ELS가 ‘수익’이라는 열매만 투자자들에게 돌려준 것은 아니다. 2013~2014년 현대중공업, LG화학, 포스코, OCI, GS건설 등의 주가가 급락하며 2011~2012년 이들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판매된 ELS가 무더기로 손실구간에 진입했다. 2~3년 만에 원금을 40~50% 날린 투자자들도 생겨났다.
최근엔 유로스톡스50,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등 해외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에 자금이 몰리면서 ‘쏠림 우려’가 나오고 있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작년 1~11월 지수형 ELS의 발행 비중은 96.9%를 차지한 반면 종목형 ELS 비중은 2.3%에 그쳤다. 이중호 유안타증권 연구위원은 “안전하다고 믿었던 종목형 ELS가 손실구간에 들어간 것처럼 지수형 ELS도 폭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ELS에 분산투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