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복지는 틀렸다
입력
수정
지면A1
자본주의 오해와 진실 보편적 복지가 치명적인 이유돈 아닌 국가철학의 문제
극빈층 제대로 보호 못하면서 중산층 이상 복지 확대 곤란
"복지 확대가 국가의 존재 이유 아니다
경제윤리 위축과 가족의 파괴 부를 것"
민경국 < 강원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
시장이 할 일 빼앗는 복지국가, 필연적으로 경제 자유 유린
‘석기시대’ 정신으로 회귀?
구성원이 뭉쳐 나눠먹자는 정신 현대사회에 적용은 ‘도덕의 횡포’보편적 복지는 ‘돈 먹는 하마’
주인 없는 돈, 책임질 사람도 없어…복지예산의 남용·낭비로 귀결


밀턴 프리드먼이 실토했듯이 가난의 실상을 보면 참 가슴 아프고 괴롭다. 1인당 국민소득이 아무리 높아도 굶어 죽거나 자살할 빈자가 많다면 결코 좋은 사회가 아니다. 그래서 극빈층을 보호하는 ‘선택적 복지’가 복지원칙이 돼야 한다는 걸 직시해야 한다. 이를 구현한 게 ‘기초생활보장법’이다. 허술하지만 이 제도가 한국 사회의 든든한 버팀목이다.
이마저 없다면 굶어 죽거나 자살하는 사람이 속출할 것이다. 이 제도를 수선해 제대로만 시행한다면 우리 사회는 훨씬 더 밝은 사회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런 소중한 제도를 제대로 운영하지도 못하면서 혼자 힘으로도 살아갈 수 있는 사람에게, 심지어 중산층이나 그 이상의 소득계층으로 국가의 복지를 확대(보편적 복지)하는 건 참을 수 없다.안타까운 건 그런 복지 확대를 단순히 돈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세금과 복지의 연계론’이 대표적이다. 이를 잘 표현한 게 영·미의 ‘저부담-저복지’, 독일의 ‘중부담-중복지’, 스웨덴의 ‘고부담-고복지’ 공식이다. 그러나 정부의 복지 확대는 돈의 문제가 아니다. 돈이 많거나 돈으로 감당할 수 있다고 해서 정부의 복지를 늘려선 안 된다. 복지 확대는 원칙의 문제요 국가철학, 경제윤리의 문제라는 걸 직시해야 한다. 간섭주의를 옹호하는 연계론은 반쯤 틀린 게 아니라 완전히 틀렸다.
정부의 복지 확대는 세 가지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첫째, 복지 확대는 결코 국가의 존재 이유가 아니다. 둘째, 인격 존중, 독립심, 자기 책임, 기업가 정신, 가족 등 고귀한 경제윤리의 파괴를 부른다. 셋째, 높은 부담은 높은 복지가 아니라 낮은 복지를 부른다는 ‘복지의 역설’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흥미로운 건 복지국가의 산물인 사회권(社會權·social right)이다. 이는 급식, 보육, 교육 등 원하는 것을 지급해줄 것을 타인(납세자)에게 요구할 수 있는 권리란 개념이다. 한 개인의 행복을 위해 타인을 희생시키는 게 건전한 정부가 할 도리인가.
복지국가는 자신의 권력을 제한하는 장치도 없다. 그래서 시장이 할 일을 제멋대로 빼앗아 ‘권리의 과잉’을 초래했다. 급식, 건강, 교육 심지어 각종 산업보조금에 이르기까지 이것저것 사회권이 아닌 게 없다. 그래서 사회권의 입법은 법치와도 정면으로 충돌하고 공법이 사법을 괴롭히는 ‘법의 타락’을 초래한다. 국민을 행복하게 만들겠다는 야심 찬 복지국가는 필연적으로 폭정을 부르고 그 결과는 경제자유의 유린으로 나타난다. 국민행복(복지)은 결코 국가의 존재 이유가 될 수 없다는 칸트의 인식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복지 확대로 육아, 자녀 교육, 부모 봉양, 노년의 삶에 대한 계획 등 가족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국가가 해결하기에 필연적으로 가족의 파괴가 초래된다. 가족의 존재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사회 구성원들이 한데 뭉쳐 서로 의지하면서 나눠 먹자는 게 복지국가의 도덕이다. 삶의 어려움은 사회가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도덕의 원천은 ‘석기시대의 정신(stone-age mind)’이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정신은 원시사회와 같이 소규모 사회에 적합한 본능적 가치다. 이타심은 오늘날에도 가족 친지와 같은 소규모 그룹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 규모에 따라 도덕도 달라야 한다. 복지국가는 소규모 사회의 도덕을 오늘날과 같이 거대한 사회에 적용하는 체제다. 그런 적용은 ‘도덕의 횡포’다. 그 결과는 시장경제의 기초가 되는 기업가 정신, 책임정신, 타인의 인격·재산에 대한 존중심, 유대감 등 경제윤리의 손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사회 갈등, 가치 혼란, 무질서를 야기할 뿐이다.
보편적 복지는 윤리의 문제라는 것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돈이 문제가 아니다. 돈이 많은 정부의 복지 확대가 자기책임, 독립심, 진취성, 절약 등과 같은 열린 사회의 도덕을 파괴한다면 그런 복지는 지속 불가능하다. 그런 문제는 ‘자원의 저주’라는 말이 잘 설명해준다. 과거 네덜란드처럼 갑자기 나온 석유로 번 돈을 정부가 복지 확대에 이용한 결과 생산활동 대신 의미 없는 소비활동 추구, 노동의욕 감소, 자기책임 상실 등으로 경제가 추락했던 역사적 사실을 간과해선 안 된다. 재정건전성이 복지 확대 여부의 기준이 될 수 없는 이유도 재정이 건전하다고 해서 정부가 복지를 확대하면 필연적으로 도덕적 타락과 이에 따른 경제 성장의 추락이 빚어지기 때문이다.
복지 확대를 위해 세금을 올리면 더 행복해진다는 ‘고부담-고복지’도 틀린 생각이다. 한편으로는 복지 확대로 복지 수혜자 측에서 생겨날 일할 의욕, 책임감 등 도덕의 손상과 다른 한편으론 조세 부담으로 기업의 투자 위축, 일할 의욕 상실로 인해 성장이 저하되면서 실업과 빈곤층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재정 낭비도 복지국가의 심각한 문제다. 보편적 복지는 돈을 먹는 하마와 같다. 정부의 방대한 복지예산은 단순히 나눠 먹을 눈먼 돈일 뿐이다. 복지국가는 그래서 ‘재정사회주의’나 다름없다. 복지예산은 주인 없는 돈이기 때문에 책임지는 사람도 없다. 복지예산의 남용과 낭비를 뜻하는 ‘공유의 비극’은 그래서 당연한 결과다. 증세를 통한 복지 확대가 결국 복지 수준을 낮춘다는 ‘복지의 역설’은 복지국가 현실의 정곡을 찌르는 말이다. 선택적 복지의 부담이 낮다고 해서 시민들이 누릴 복지 수준이 낮아지는 게 아니다. 개개인이 시장에 의존해 복지를 증진하려는 강력한 의욕 때문이다.정부가 할 일은 무의탁 노인, 결손가정, 당장 먹을 게 없는 어려운 가정을 돕는 선택적 복지여야 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복지를 시장의 자생적 힘에 의존하도록 규제를 풀고 정부 지출을 줄이는 일이 복지 증진을 위한 최선의 방책이다.
민경국 < 강원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