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 9일부터 양적완화…월 600억유로 푼다
입력
수정
지면A11
드라기 총재 "내년 9월까지 국공채 등 매입"…기준금리는 연0.05%로 동결
미·중 기업, 유럽자금 '사냥'
버핏도 연 1%대 금리로 유로화 채권 발행나서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사진)는 5일(현지시간) 키프로스의 수도 니코시아에서 열린 ECB의 정례 통화정책회의가 끝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내년 9월까지 월 600억유로 규모의 자산 매입을 진행하겠다”며 “물가 수준이 목표치인 2%대에 도달하거나 근접할 때까지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ECB, 19개월 동안 양적 완화 시행
드라기 총재는 “ECB가 9일부터 유로화 표시 국공채를 유통시장에서 매입하기 시작할 것”이라며 “지난해부터 시행해온 자산유동화증권(ABS)과 커버드본드 매입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그리스 채권은 당분간 매입할 수 없다는 입장을 재차 확인하고, 일반적인 채권 매입 수익률 하한선을 현행 예금금리인 -0.2%로 제시했다.
ECB는 유로존의 국내총생산(GDP)이 올해 1.5%, 내년 1.9%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당초 전망치인 1.0%와 1.5%보다 상향 조정한 것이다. 2017년 성장률 전망치는 2.1%로 제시했다. ECB가 경기 회복의 가장 중요한 지표로 여기는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최근의 유가 하락을 감안해 기존의 0.7%에서 0%로 낮춰 잡았다. 하지만 내년에는 당초의 1.3%에서 1.5%로 끌어올렸고, 2017년에는 1.8%까지 물가상승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ECB는 이날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연 0.05%로 동결했다. 작년 9월 기준금리를 연 0.15%에서 0.05%로 낮춘 뒤 6개월 연속 동결한 것이다. 하루짜리 예금에 적용되는 예금금리와 한계 대출금리도 각각 -0.20%와 0.30%로 유지했다.
○美·中 기업, 앞다퉈 유럽자금 사냥
벅셔해서웨이는 도이치뱅크와 골드만삭스 등을 주관사로 내세워 30억유로 규모의 유로화 표시 채권 발행에 나선다. 금리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유로존 내 회사채 시장 분위기를 감안하면 연 1%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조사업체 마르키트에 따르면 3월 초 기준 유로화 표시 회사채의 평균금리는 연 1.07%로 달러화 표시 회사채 평균금리(연 3.66%)보다 크게 낮다. 이 중 투자적격 등급의 유로화 표시 회사채 평균금리는 연 0.90%로 연 1% 이하에 머물러 있다. 위안화 표시 회사채의 평균금리가 연 5% 수준인 중국 등 아시아 기업으로서도 유럽 회사채 시장은 매력적이다.이에 따라 유로화 표시 회사채를 발행하는 외국 기업이 크게 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딜로직에 따르면 올 들어 이달 4일까지 미국 기업이 발행한 유로화 표시 채권은 266억유로로 2007년 이후 최대였다.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기업 역시 지난달까지 22억9000만달러어치의 유로화 표시 채권을 발행했다. 작년 같은 기간 대비 다섯 배 늘어난 규모다.
신동준 하나대투증권 연구위원은 “ECB의 양적 완화로 풀린 유럽 자금이 한국 원화채권 시장에까지 들어올 것”이라며 “이는 시중금리 하락으로 이어져 국내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도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동균/노경목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