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사이드 人터뷰] "한국 드라마엔 가족이 있어…따뜻함이 2030 美女 울려"

美서 'K드라마' 돌풍 이끄는 박석 드라마피버 CEO
뉴욕=이심기 특파원
“이제 됐죠? 그만 찾아오세요. 전화도 그만하고요. 이메일도 그만 보내세요.”

미국 뉴저지주 포트리에 있는 MBC아메리카에서 만난 담당자는 DVD를 내주면서 질렸다는 듯이 쏘아붙였다. 2008년 11월이었다. 그가 받아낸 DVD는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과 ‘내 이름은 김삼순’이었다. 한국 드라마를 미국에서 인터넷으로 유료 서비스하겠다고 방송사를 돌며 8개월간 사정한 보람이 있었다.“아시아도 아닌 미국에서 한국 드라마를 자기 돈 내고 찾아서 보겠다는 사람이 있겠느냐는 반응이 99.9%였죠. 그래도 다행히 첫 판권을 히트작으로 따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로부터 6년 뒤인 2014년 11월 일본 소프트뱅크가 회사를 사겠다고 제의했다. 그는 “구체적인 액수는 계약 조건이라 밝힐 수 없다”고 말했지만 인수전에 뛰어든 다른 업체가 제시한 가격이 1억달러가 넘었다. 미국에서 또 하나의 한류 붐인 K드라마 신화를 성공시킨 드라마피버(Drama Fever) 박석 사장(41)의 얘기다.

한 달 접속 횟수 2200만건
6일 찾아간 뉴욕 맨해튼 28번가 드라마피버 사무실은 스타트업(창업 초기 기업) 분위기가 물씬 풍겼다. 칸막이도 없이 탁 트인 건물 한 층에 100명이 넘는 젊은 직원들이 모여 대형 모니터 앞에서 한창 프로그래밍 작업 중이었다. 한쪽에는 온라인 게임기와 탁구대가 놓여 있었다. 박 사장도 별도의 사무실 없이 직원들과 섞여 자리를 잡고 있었다.

“한국에서 전날 밤 방영한 드라마를 24시간 안에 자막을 넣어서 온라인에 올려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고객이 모두 불법 사이트로 빠져나가 버리거든요.”드라마피버는 한국과 일본, 대만의 드라마와 영화, 예능 프로그램을 미국에서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스트리밍업체다. 한국 상륙을 앞둔 넷플릭스와 같은 방식이다. 한국의 방송 3사와 종합편성채널, 독립 드라마 제작사에서 미국 내 온라인 판권을 사서 방영하고 있다.

“매달 43편의 콘텐츠를 올려놓습니다. 회원들이 각자 보고 싶은 드라마나 영화를 TV, 노트북, 스마트폰으로 찾아서 보도록 하는 거죠.”

드라마피버 가입자는 300만명이 넘는다. 8개월마다 두 배씩 늘어나고 있다. 이 중에는 돈을 내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료회원과 15~20분마다 광고 한 편을 보는 조건으로 콘텐츠를 무료로 보는 광고회원 등 두 부류가 있다.“드라마피버 회원의 월평균 시청시간은 53.9시간입니다. 업계 1위인 넷플릭스의 10.3시간보다 네 배 이상 많습니다. 월간 접속 횟수를 기준으로 한 이용자는 2200만명에 달하고요.”

접속자의 절반 가까운 45%가 백인이다. 중남미 출신 히스패닉이 25%, 나머지는 아시아인과 흑인이 15%씩을 차지한다.

“한국말을 모르는 외국인이 한국 드라마를 찾아 보게 한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배우의 연기와 대사에 맞춰 영어 자막을 넣어야 하고, 실생활 영어 표현을 사용해서 제대로 만들어야 합니다.”

전날 한국 저녁시간대에 방송한 드라마를 다음날 미국 저녁시간까지 사이트에 올려놔야 한다. 대사를 번역해 자막을 처리하고, 광고까지 24시간 안에 끝내야 하기 때문에 ‘의외로’ 손이 많이 가는 비즈니스다. 최대 경쟁 업체인 무료 해적판 사이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서비스가 생명이다.

“한국 드라마를 미국인에게 보여주자”

그가 K드라마를 스타트업 아이템으로 결정한 것은 2008년 초 싱가포르의 한 호텔방에서다. 명문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MBA)을 졸업한 뒤 맨해튼의 한 미디어 회사에서 해외판권 사업을 맡고 있을 때였다.

“계약을 마치고 호텔방으로 올라와서 TV를 켰는데, 한국 드라마를 방영하고 있었습니다. 알아보니 현지에서 최고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겁니다. 순간 머리가 번쩍하더군요. ‘한국 드라마를 미국인에게 보여주자.’”

곧바로 사표를 내고 회사를 차렸다. 그동안 벌어놓은 25만달러를 몽땅 털어넣었다. 하지만 한국 드라마 판권을 잡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당시만 해도 방송사들은 미국에서 한인 동포를 상대로 비디오테이프로 드라마를 복사해 보급하는 일을 하고 있었다. 미국인에게 직접 드라마를 보여준다는 건 상상조차 하지 못했다.

어렵게 판권을 따내 사업을 시작했지만 난관의 연속이었다. 한국인 동포나 유학생들은 모두 불법 사이트를 통해 공짜로 한국 드라마를 보고 있었다. 마케팅과 서버 관리, 프로그래밍을 위한 기본 투자는 계속 이뤄졌지만 기대만큼 유료회원이 늘지 않았다.

“2009년 8월부터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이후에도 2년 반 동안 한 푼도 못 벌고 투자한 돈만 까먹었죠.”

미국에서 대학을 다니던 1990년대 중반에는 당시 최고 히트작이던 ‘모래시계’를 비롯해 ‘마지막 승부’ ‘느낌’ 등 청춘드라마를 기숙사에서 한국인 친구들과 함께 돌려봤다. 한국말을 전혀 할 줄 몰랐던 그는 이렇게 자신이 태어난 한국이라는 나라와 문화에 빠져들었다. 사업 초기 고전할 때도 중간에 포기하지 않았던 것은 한국 드라마에 대한 애정 덕분이었다. 이렇게 해서 드라마피버는 한국은 물론 아시아 문화를 미국에 전파하는 대표적 플랫폼으로 이름을 얻었고, 소프트뱅크가 거액을 들여 인수하겠다고 나섰다.

“되겠느냐”에서 “키워보자”로 분위기 달라져

지난 1월5일 오후 8시 미국 맨해튼 허드슨극장 앞에는 수십명이 영하의 날씨에 찬바람을 맞으며 자신의 입장 순서를 기다리고 있었다. 제3회 ‘드라마피버 어워즈’에 참석한 한국 연예인들을 보기 위해 온 젊은 미국 여성들이었다. 지난해 드라마피버를 통해 방영된 한·중·일 3개국 인기 드라마와 영화, 예능 프로그램까지 분야별로 150만명이 온라인 투표에 참여, 수상작과 배우를 선정해 이날 시상식을 연 것이다.

젊은 미국인들이 이처럼 한국 드라마에 빠지는 이유가 뭘까. “로맨틱 코미디를 보고 싶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중반의 미국 여성이 있다고 칩시다. 그런데 폭력이나 섹스는 싫어합니다. 과연 뭘 볼 수 있을까요? 이 시장이 K드라마가 파고들 틈새입니다.”

박 대표는 한국 콘텐츠의 강점으로 가족, 사랑이라는 긍정적 메시지와 세계 유행에 뒤처지지 않는 한국의 패션과 문화를 내세웠다. 이곳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었던 2012년 ‘꽃보다 남자’와 지난해 ‘상속자’ ‘연애의 발견’ 등과 같은 트렌디 드라마가 대표적인 콘텐츠다.

여기에 K팝 열풍으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도 도움이 됐다. 드라마피버 회원 중 70%가 18~34세이고, 이 중 여성이 3분의 2가 넘는다는 게 이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소프트뱅크에 인수된 후 달라진 점은 무엇일까. 그는 개인 지분을 모두 넘겼지만 최고경영자(CEO)로 계속 사업을 키우고 있다. 계약 조건이기도 했다. 소프트뱅크도 일본 콘텐츠 비중을 높이라는 등의 경영 간섭을 일절 하지 않는다. 대신 탄탄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미국을 넘어 중남미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그가 사업을 시작하면서 내건 목표는 미국인이 한국 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다행히 사업 초기에는 “되겠느냐?”는 질문이 많았지만 지금은 “크게 해보자”는 주문이 많아졌다.

“외모에 의한 편견이나 차별, 한국 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없앨 방법이 무엇일까 고민해봅니다. 결론은 최대한 많이 접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문화적 격차를 넘어 이해하는 수준까지 도달하면 한국이라는 나라에 한번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지 않겠습니까?”

트리밍 서비스 장점은

케이블 수신료의 15% 수준
언제든지 드라마 시청 가능

TV를 보는 방법이 달라지고 있다. 공중파나 케이블 같은 기존 방송을 TV로 보지 않고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해 컴퓨터로 시청하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스트리밍이란 인터넷을 통해 동영상 파일을 실시간 온라인으로 재생하는 시스템이다. 대기시간 없이 용량의 제한을 받지 않고 자신이 보고 싶은 드라마나 영화를 원하는 시간에 마음대로 골라볼 수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불법 복제로 인한 저작권 시비 등의 문제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

세계 최대 스트리밍 서비스업체인 넷플릭스는 미국 내 가입자만 4000만명에 달한다. 아마존 프라임과 HBO Go, 훌루(Hulu) 플러스 등도 급성장하고 있다. 스트리밍업체는 기존 TV 프로그램이나 영화의 온라인 판권을 사들이기도 하지만 자체 콘텐츠를 제작하기도 한다.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쟁력은 TV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다양한 기기로 방송을 볼 수 있다는 점과 저렴한 요금이다. 미국에서는 월 10달러 안팎의 요금으로 수만개의 콘텐츠를 제한 없이 즐길 수 있다. 케이블이나 위성TV 수신료의 15% 수준에 불과하다. 드라마피버는 1만5000개의 드라마와 영화를 보유하고 있다.기존 방송사들도 잇달아 스트리밍 서비스 시장에 합류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가전전시회 ‘CES 2015’에서도 미국 위성TV 사업자인 디시네트워크가 스포츠 채널인 ESPN과 뉴스케이블 CNN 등 12개 채널을 인터넷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슬링TV’ 서비스를 선보이며 화제를 모았다.

뉴욕=이심기 특파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