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실물경제 활성화 효과도 줄어"
입력
수정
가계부채 증가로 실물경제를 활성화하는 효과가 줄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15일 '최근 가계부채 증가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2년 이후 가계부채 증가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과거보다 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이후 주택매매 거래건수는 전년 동기보다 8.6% 늘었다.
그러나 과거 LTV·DTI의 변화가 있던 2009년 9월과 2011년 3월 이후에는 주택매매 건수가 각각 31.3%, 33.7% 늘었다. 또 2009년 규제 변화 이후 소매판매 증가율은 10.9%에 달했으나 작년 4분기 민간 소비 증가율은 1.4%로 규제 완화 이전 분기 (1.5%)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보고서는 "늘어난 가계 부채가 주택구매나 소비지출로 이어져 실물경제를 뒷받침하는 효과가 줄었다"며 "가계부채 증가가 실물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는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또 "이런 현상은 저성장 고착화와 고령화로 장기간 지속할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로 가계부채 급증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실물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효과는 줄어 가계부채의 위험성은 그전과 비교하면 더욱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전용식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는 가계부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고,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기 때문에 가계의 재무건전성 악화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환경 변화와 금융산업의 미래를 고려한 포괄적인 가계부채 관리 정책과 경영전략이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보험연구원은 15일 '최근 가계부채 증가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2년 이후 가계부채 증가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과거보다 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이후 주택매매 거래건수는 전년 동기보다 8.6% 늘었다.
그러나 과거 LTV·DTI의 변화가 있던 2009년 9월과 2011년 3월 이후에는 주택매매 건수가 각각 31.3%, 33.7% 늘었다. 또 2009년 규제 변화 이후 소매판매 증가율은 10.9%에 달했으나 작년 4분기 민간 소비 증가율은 1.4%로 규제 완화 이전 분기 (1.5%)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보고서는 "늘어난 가계 부채가 주택구매나 소비지출로 이어져 실물경제를 뒷받침하는 효과가 줄었다"며 "가계부채 증가가 실물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는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또 "이런 현상은 저성장 고착화와 고령화로 장기간 지속할 수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로 가계부채 급증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실물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효과는 줄어 가계부채의 위험성은 그전과 비교하면 더욱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전용식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는 가계부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고,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늘기 때문에 가계의 재무건전성 악화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진 것으로 보인다"며 "경제환경 변화와 금융산업의 미래를 고려한 포괄적인 가계부채 관리 정책과 경영전략이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