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기업 착한 경영] 포스코, 급여 1% 나눔 3만명 참여…中企와 年500억 성과공유
입력
수정
지면B5


포스코는 포항, 광양 지역을 중심으로 경제 활성화와 사회복지를 위해 사회적 기업을 운영·지원하고 있다. 또 소외계층을 위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부서별 자매마을 결연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교류에 힘쓰고 있다. 모잠비크, 에티오피아, 인도네시아 등 포스코가 진출했거나 진출할 예정인 해외 저개발국가의 자립 지원에도 앞장서고 있다.
차세대 리더 양성을 위한 활동도 펼치고 있다. 포스코청암재단 및 교육재단의 장학사업과 매년 100명의 대학생에게 국내외 봉사 기회를 제공하는 포스코대학생봉사단 비욘드,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한 ‘우리학교는 친친 와이파이’ 사업 등이 대표적인 예다.포스코 그룹사 및 외주사 임직원의 기부로 2013년 설립된 포스코1%나눔재단은 기존의 사회공헌 사업과 더불어 소외계층 지원, 해외 지역사회 자립 지원, 문화유산 보존·계승 활동을 펼치고 있다. 2011년 포스코그룹의 임원 및 부장급 이상이 급여의 1%를 기부하면서 시작된 1%나눔운동은 현재 포스코 그룹사와 105개 외주파트너사 직원 등 3만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대표사업으로는 포스코 그룹사가 가진 역량을 연계한 쉼터 등 스틸하우스 복지시설 건립, 글로벌 지역사회 빈민층 주거시설 지원, 해체 다문화가정 청소년 진로지원 교육사업(친친무지개 프로젝트), 국악 분야 신진예술가 지원 등이 있다.
설립 초기부터 지역사회, 공급사(협력사) 등과 상생해온 포스코는 10년 전 국내 최초로 성과공유제를 도입, 상생경영의 모범기업으로 거듭났다. 중소기업 금융난 해소를 지원하기 위한 저리 대출제도인 네트워크론을 도입하고 중소기업의 납품대금 전액 현금결제 제도를 시행했다. 포스코형 성과공유제도인 BS제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우수사례로 선정돼 2012년 정부 차원에서 전 산업계로 확산됐다. BS제도는 협력기업과 공동으로 개선 과제를 수행하고 그 성과를 공유하는 제도다. 2013년 536억원, 지난해 544억원 규모의 성과 보상을 진행했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