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리 버드' 삼성 임원들, 6시30분 출근 늦춰질까
입력
수정
지면A4
삼성전자가 자율 출퇴근제를 회사 전체로 확대하면서 삼성 임원들의 출근 시간이 늦춰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삼성 임원들은 대부분 오전 6시30분까지 출근한다. 삼성그룹을 총괄하는 미래전략실 임원은 물론 삼성전자 등 핵심 계열사 임원들이 대부분 이때까지 사무실에 나온다. 과거 ‘7·4제’ 시절 출근 시간인 오전 7시보다 30분 출근 시간을 앞당겨 조직에 긴장감을 불어넣겠다는 취지에서다.자율 출퇴근제 도입으로 임원들도 원칙적으로는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게 가능해졌다. 삼성 측도 “자율 출퇴근제는 생산직을 제외한 모든 임직원에게 적용된다”며 “임원도 당연히 적용 대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삼성 임원들이 실제 이 제도를 활용할 가능성은 별로 높지 않다는 게 삼성 내부 분위기다.
삼성 관계자는 “임원들은 파리 목숨”이라며 “매년 인사 때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 불확실한데 오후 늦게 출근하는 게 가능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삼성의 한 임원도 “후배들에게 자율성을 주려면 임원들은 더 열심히 일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
현재 삼성 임원들은 대부분 오전 6시30분까지 출근한다. 삼성그룹을 총괄하는 미래전략실 임원은 물론 삼성전자 등 핵심 계열사 임원들이 대부분 이때까지 사무실에 나온다. 과거 ‘7·4제’ 시절 출근 시간인 오전 7시보다 30분 출근 시간을 앞당겨 조직에 긴장감을 불어넣겠다는 취지에서다.자율 출퇴근제 도입으로 임원들도 원칙적으로는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게 가능해졌다. 삼성 측도 “자율 출퇴근제는 생산직을 제외한 모든 임직원에게 적용된다”며 “임원도 당연히 적용 대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삼성 임원들이 실제 이 제도를 활용할 가능성은 별로 높지 않다는 게 삼성 내부 분위기다.
삼성 관계자는 “임원들은 파리 목숨”이라며 “매년 인사 때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 불확실한데 오후 늦게 출근하는 게 가능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삼성의 한 임원도 “후배들에게 자율성을 주려면 임원들은 더 열심히 일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