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위한 '아이돌봄 서비스' 중산층 이용자만 되레 늘었다
입력
수정
지면A12
지난해 중산층 2만명 이용18개월 된 아이의 엄마인 김모씨(33)는 최근 취직하면서 정부가 제공하는 아이돌봄 서비스를 신청했다. 하지만 내년이나 돼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대답을 들었다. 돌보미(육아 보조원)가 워낙 부족해 김씨 말고도 대기자가 많다는 이유에서였다.
2012년보다 두 배 급증
'돌보미'도 고소득층 선호
저소득층 우선순위서 밀려
김씨는 “남편이 버는 돈이 월 180만원밖에 되지 않아 맞벌이가 절실한데 당장 아이를 어디에 맡겨야 할지 걱정”이라며 “살 만한 친구네는 웃돈을 주고 바로 돌보미와 연결됐다는데 나는 생계가 어려워 그럴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걱정했다.저소득층이 정부가 지원하는 아이돌봄 서비스에서 오히려 외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돌봄은 부모가 취업한 만 12세 이하 아이를 위해 돌보미가 집을 방문, 보육 서비스를 1 대 1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전에는 소득 하위 70% 이하 저소득층에만 제공했다. 하지만 2012년부터 대상을 전 계층으로 확대하면서 수요가 급증했다.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의 이용 비율이 줄고, 대기일수는 부쩍 늘어난 이유다.
지난해 전국 가구(4인 기준) 평균소득은 월 497만원. 이보다 많이 버는 가구 가운데 시간제 아이돌봄 서비스 이용자는 1만9132명으로 전체 이용자의 38.3%였다. 2012년 1만739명보다 두 배 가까이로 늘어난 것이다.
반면 소득 하위 50%에 속하는 이용자 수는 2012년 2만1476명에서 2013년 2만960명, 지난해 2만690명으로 연간 300~500명씩 줄었다. 전체 이용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0년 54%에서 2012년 52%, 작년엔 41%로 떨어졌다.정부 보조 대상(영아종일제)이 전국 가구평균 소득 70% 이하에서 전 소득계층으로 확대된 영향이다. 시간제 돌봄의 경우 가구소득이 전국 평균소득 이상이면 정부 지원이 없지만 이용 단가가 시간당 6000원으로 민간 베이비시터(1만원)에 비해 싸서 중산층 가구에도 인기가 많다. 영아 종일제 서비스는 아무리 소득이 많아도 한 달에 45만원씩 정부 지원을 받는다.
돌보미들의 선호 가구도 고소득층에 몰리면서 저소득층이 서비스를 받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고소득층 가구가 집 평수가 넓거나 거주 지역이 안전해 일하기가 편하다는 인식이 있는 데다 암묵적으로 보너스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한 직장 여성은 “돌보미가 시간당 1000원을 더 얹어주면 다른 가정의 서비스를 끊고 우리 집에 와주겠다고 제안했다”고 말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