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2%대 예금, 지방·특수銀에서 찾아야
입력
수정
지면A10
산업銀 'KDB Hi 정기예금'·전북 'JB다이렉트' 年 2.2%로 금리 가장 높아
고객 유치 위한 지방은행 비교적 高금리 제공해 유인
예·적금 가입 계획 있다면 추가 인하되기 전 가입해야

◆지방·특수은행 상품 살펴라남아있는 고금리 상품을 찾으려면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대형 은행보다는 지방은행이나 특수은행으로 눈을 돌릴 필요가 있다. 새로운 가입자를 유치하고 자금을 끌어들일 필요가 커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곳이 많다.
전북은행의 다이렉트예금통장이 대표적이다. 전북은행이 지방은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내놓은 온라인 전용상품으로,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이들에게 이미 필수 가입 상품으로 알려졌다. 1년제 기준 금리는 연 2.2%다. 연 1.7~1.8% 수준인 4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보다 0.4~0.5%포인트 더 높다. 계좌당 100만원 이상 5억원 이하(1인당 10억원 이하)를 예치할 수 있다.
산업은행의 KDB Hi 정기예금도 고금리 상품 중 하나다. 역시 온라인 전용상품이며 금리는 연 2.15%다. 오는 17일까지 가입하면 0.05%포인트를 추가로 줘 최고 연 2.2%를 받을 수 있다. 100만원 이상 금액을 자유롭게 넣을 수 있다.수협은행의 사랑해나누리예금도 비교적 높은 금리를 준다. 기본금리는 연 2.05%이며 기부금영수증, 헌혈·자원봉사증을 제시하면 0.1%포인트 우대금리를 주기 때문에 최고 연 2.15%를 받을 수 있다. 은행 부담으로 예금 평균잔액의 0.04%를 어촌복지기금으로 적립하는 공익 기능도 갖췄다. 경남은행의 스마트정기예금은 기본금리가 연 1.95%지만 가입자 3명을 유치하면 0.3%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제공해 최고 금리는 연 2.25%다
◆적금도 천차만별…발품 팔아야
예금보다 비교적 높은 적금 금리 또한 연 1%대로 내려왔다. 외국계 은행 중에선 연 1.3%를 적용하는 곳도 있다. 적금이 서민·중산층의 목돈 만들기 상품이라는 것도 옛말이 됐다. 하지만 다 똑같아 보이는 적금상품 금리도 은행에 따라 크게는 0.4%포인트까지 벌어진다. 조금이라도 높은 금리를 받기 위해서는 발품을 팔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적금도 지방·특수은행의 금리가 비교적 높다. 전북은행의 JB다이렉트적금의 기본금리는 연 2.3%다. 같은 은행 통장에서 자동이체로 납입하면 0.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줘 최고 연 2.4%를 받을 수 있다. 월 1000만원 이하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다. 수협은행의 파트너가계적금도 연 2.3% 금리를 제공한다. 월 1만원 이상이면 가입금액 제한이 없다.
대형 은행 중에서는 하나은행의 오필승코리아적금 금리가 높다. 연 2.2%로 월 1000만원 이하 금액을 납입할 수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들이 조만간 수신금리를 더 내릴 가능성도 있어 예·적금 가입 계획이 있다면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한신 기자 hansh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