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중앙대 후임 이사장 '신속 선임' 배경은…김철수 전 상공부 장관
입력
수정
충격파 최소화 의지… 학내갈등 불씨 남아

이같은 신속한 후임 이사장 선임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다. 중앙대는 박 전 이사장 사퇴 당시 공식 입장을 통해 “조속한 시일 내에 이사회를 개최해 후속 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충격파를 최소화하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박 전 이사장이 사퇴했지만 논란은 일파만파 확산됐다. 중앙대 교수들은 기자회견을 열어 “대학판 조현아(전 대한항공 부사장) 사건”, “한국 대학 역사의 학치일(學恥日)”이라고 규탄했다. “반드시 박 전 이사장을 법의 심판대에 세울 것”이라고도 했다.
긴급 진화가 요구되는 상황이었다. 더 이상의 논란 확대를 막고, 이번 사태의 발단이 된 학사구조 개편을 일단락 할 필요가 있었다.
김 신임 이사장은 “총장을 중심으로 구성원이 단합해 분위기를 안정시키고 지금껏 추진해 오던 여러 업무가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학사구조 개편을 반대하는 교수들에게 비판받아 왔음에도 불구, 이용구 총장에게 계속 힘을 실어준다는 취지다.실제로 이날 이사회에선 학사구조 개편 내용이 담긴 학칙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신입생 모집단위 광역화가 핵심이다. 학과제 전면 폐지를 골자로 한 기존안(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엔 크게 못 미치지만 최소한의 성과를 얻어냈다. 이 총장은 “이제 학사구조 선진화가 실행 단계에 들어간 만큼 구체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중단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교수협의회(교협)와 교수대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중심으로 이 총장의 사퇴를 비롯한 ‘대규모 쇄신’을 요구해 온 교수들과는 입장이 엇갈렸다.
교협과 비대위는 이날 성명을 내고 “현재 이사진 또한 박 전 이사장의 전횡을 제어하지 못한 공동책임이 있다. 이사회는 먼저 이번 사태에 대해 책임지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면서 “새 이사장 선임에 앞서 학내 구성원 의견을 경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러나 재단이 곧바로 새 이사장을 선임하면서 또 한 번의 갈등을 예고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이사회 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은 가운데 새 이사장을 전격 선임했다”며 “쇄신을 바라는 구성원들의 뜻을 외면한 실망스러운 처사다. 대응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