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바가지 씌울 궁리나 하는 한국 관광의 당연한 추락
입력
수정
지면A31
관광 한국의 국제경쟁력이 추락하고 있다. 엊그제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2015년 여행·관광 경쟁력보고서’를 보면 일본은 물론 중국에도 크게 뒤진다. 역대 정부마다 관광서비스산업의 활성화를 외쳐온 게 쑥스러울 정도다. 지난해에도 정부는 관광·콘텐츠 부문을 포함해 7대 서비스산업을 집중 육성해 15조원의 투자를 유인해내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연 1200만명 수준인 해외관광객을 2000만명까지 유치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도 세웠다.
하지만 이번 평가에서 한국은 2013년 세계 25위에서 올해 29위로 미끄러졌다. 중국이 2년 새 45위에서 17위로, 일본도 14위에서 9위로 뛴 것과 비교된다. ‘바가지 상혼’ 등으로 가격경쟁력(109위)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정보통신 여건(11위), 위생(16위), 교통인프라(육상 해운 21위) 등에서 다진 경쟁력을 갉아먹은 게 큰 요인이다. 천연자원(107위)이 부족한 게 여전히 단점이지만 이는 어제오늘의 핸디캡도 아니다. 싱가포르(11위), 홍콩(13위)이 관광 강국으로 자리잡은 것을 보면 국제관광산업은 더 이상 천연자원이나 문화유산만으로 판가름나지도 않는다. 일본이 친절한 응대와 독특한 문화로 전체 순위를 끌어올린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런데도 규제법규가 경쟁력 하락을 부채질한다. 학교 주변에 관광호텔을 허용하자는 법 개정안도 국회에서 해를 넘겨 계류 중이다. 의료·보건 관광객을 연간 21만명에서 50만명으로 끌어올리자는 계획도 원격진료를 막는 의료법 등에 막혀 제자리걸음이다. 관광경쟁력은 결국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이다. 맛기행을 중시하는 중국 관광객들에게 냉면 한 그릇으로 때우라 하는 식이어서는 부족하다. 서비스산업에 대한 국회의 인식 부족도 아쉽지만 여전히 ‘한탕’에 골몰하는 시민들의 얼치기 장삿속도 걱정이다.
하지만 이번 평가에서 한국은 2013년 세계 25위에서 올해 29위로 미끄러졌다. 중국이 2년 새 45위에서 17위로, 일본도 14위에서 9위로 뛴 것과 비교된다. ‘바가지 상혼’ 등으로 가격경쟁력(109위)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정보통신 여건(11위), 위생(16위), 교통인프라(육상 해운 21위) 등에서 다진 경쟁력을 갉아먹은 게 큰 요인이다. 천연자원(107위)이 부족한 게 여전히 단점이지만 이는 어제오늘의 핸디캡도 아니다. 싱가포르(11위), 홍콩(13위)이 관광 강국으로 자리잡은 것을 보면 국제관광산업은 더 이상 천연자원이나 문화유산만으로 판가름나지도 않는다. 일본이 친절한 응대와 독특한 문화로 전체 순위를 끌어올린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런데도 규제법규가 경쟁력 하락을 부채질한다. 학교 주변에 관광호텔을 허용하자는 법 개정안도 국회에서 해를 넘겨 계류 중이다. 의료·보건 관광객을 연간 21만명에서 50만명으로 끌어올리자는 계획도 원격진료를 막는 의료법 등에 막혀 제자리걸음이다. 관광경쟁력은 결국 서비스산업의 경쟁력이다. 맛기행을 중시하는 중국 관광객들에게 냉면 한 그릇으로 때우라 하는 식이어서는 부족하다. 서비스산업에 대한 국회의 인식 부족도 아쉽지만 여전히 ‘한탕’에 골몰하는 시민들의 얼치기 장삿속도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