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K 2015] "필리핀 고급주택·싱가포르 상가 등 틈새시장으로 눈 돌릴 때"
입력
수정
지면A4
글로벌 사모·헤지펀드 서밋
저금리 시대 대체투자 전략
'아베노믹스 효과' 日 M&A전문 PEF 유망
아시아 사모대출펀드 등에도 관심 가져야

한국경제신문 주최로 1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ASK 2015 글로벌 사모·헤지펀드 서밋’에서 전 세계 투자 고수들은 초저금리 시대에도 만족스러운 수익률을 올릴 수 있는 노하우를 공개했다. 주식과 채권 등 전통적인 투자 자산에 거품이 끼면서 세계 투자자금이 앞다퉈 대체투자로 몰리는 만큼 더 정교한 투자전략이 필요한 때라고 입을 모았다.◆아시아 맞춤형 투자로 승부해야
‘글로벌 큰손’들은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안전자산 위주에서 벗어나 아시아로 눈을 돌려야 차별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중국채권 전문 운용사인 에이백스글로벌캐피털의 마이클 왕 사장은 “알리바바 상장 이후 중국 기업들이 너도나도 기업공개(IPO)에 나서면서 IPO 기업에 투자한 사모펀드(PEF)들의 투자수익률이 감소하고 있다”며 “2007년까지만 해도 12~15%였던 내부수익률(IRR)이 현재 20~25%까지 높아진 구조화금융이 PEF의 대안으로 부상했다”고 말했다. 특히 중국 헬스케어와 정보기술(IT) 관련 기업의 구조화금융 투자가 유망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스튜어트 쇤베르트 CDH인베스트먼트 이사는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중국인들이 헬스케어에 쓰는 돈이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4%에서 2020년 7~8% 수준까지 늘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로 밀고 당기는 PEF-PDF
지난해 유럽 지역에서 관심을 모았던 사모대출펀드(PDF)의 인기는 아시아 지역으로도 퍼져가는 모습이다. 구조화 채권 투자전문사인 오차드글로벌애셋매니지먼트의 폴 호바스 대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에 대한 규제 강화로 은행 대출이 급감하면서 PDF에 대한 대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특히 고정자산을 유동화하는 구조화금융 기법이 활발하게 이용되는 추세”라고 말했다.아시아 PEF에 새로 주목하는 투자자도 늘었다. 조지프 장 머서인베스트먼트 대표는 “아시아 지역 PEF 시장이 커지면서 중국과 호주 비중은 늘리고 인도와 일본 비중은 줄이는 등 투자자(LP)들이 까다롭게 옥석을 가리고 있다”고 말했다.
■ 대체투자
alternative investment. 자본시장에서 전통적 투자 대상인 주식이나 채권을 제외한 다른 투자 대상을 포괄해 일컫는 용어다. 부동산, 사회간접펀드, 원자재, 사모펀드, 헤지펀드 등이 포함된다.
정영효/이유정/하헌형 기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