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소비재 연계 수출 '통합 한류 채널' 구축해야
입력
수정
지면A11
한류(韓流) 문화콘텐츠와 소비재를 연계해 수출하는 ‘통합 채널’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24일 발표한 ‘한류 기반 소비재의 수출 현황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1~3월) 국내 전체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9% 줄었지만 ‘한류 관련 소비재’의 대(對)‘한류국’ 수출액은 33.3% 늘었다.연구원은 국내 수출액 상위 10개 아시아 국가를 ‘한류국’으로, 냉장고 세탁기 패션용품 음료 주류 등 한류 영향을 크게 받는 20개 품목을 ‘한류 관련 소비재’로 정의했다.
드라마 영화 등에 자주 노출되는 의류 화장품 등 패션·미용 제품의 수출액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관련 수출액은 2007년 3억달러에서 작년에 15억달러로 늘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현대경제연구원이 24일 발표한 ‘한류 기반 소비재의 수출 현황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1~3월) 국내 전체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9% 줄었지만 ‘한류 관련 소비재’의 대(對)‘한류국’ 수출액은 33.3% 늘었다.연구원은 국내 수출액 상위 10개 아시아 국가를 ‘한류국’으로, 냉장고 세탁기 패션용품 음료 주류 등 한류 영향을 크게 받는 20개 품목을 ‘한류 관련 소비재’로 정의했다.
드라마 영화 등에 자주 노출되는 의류 화장품 등 패션·미용 제품의 수출액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관련 수출액은 2007년 3억달러에서 작년에 15억달러로 늘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