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해지는 물 부족] '목타는 한반도'…4대강 지류 환경파괴 논란에 보(洑) 못지어 가뭄 극심
입력
수정
지면A3
4대강 유역은 괜찮아국제사회는 2000년대 초반부터 한국을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은 1인당 연간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이 1453㎥로, 세계 153개국 중 129위다. 이마저도 여름철에 집중되는 강우 특성상 바다로 흘러가는 물이 많아 실제로 활용되는 수자원량은 더 심각한 상황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낙동강·영산강 등 4대강 보 설치로 가뭄 피해 줄여
수자원 활용 인프라 부족
여름 집중호우 물 넘치는데 댐 부족…그대로 흘려보내
소규모 댐 건설 늘려야
소양강 댐 1개 규모 더 지어야 물부족 해결
발전 중단 위기 처한 소양강댐물 부족 현상은 수자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생긴다. 최근 30년 동안 한국의 연평균 강수량은 1274㎜로, 세계 평균 강수량의 1.6배에 달한다. 수자원총량은 연간 1297억㎥다. 하지만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강수량을 인구로 나눈 1인당 연 강수총량은 2660㎥로, 세계 평균치의 6분의 1에 불과하다. 강수량은 풍부하나 좁은 국토에 많은 인구가 살고 있어 인구 대비 수자원량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7~8월에 연간 강수량의 70%가 집중되는 것도 물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주요 요인이다. 여름에 장마와 집중호우로 물이 넘쳐나지만, 이를 가둬놓을 댐 인프라가 부족하다 보니 물을 그대로 흘려보내는 것이다. 수자원량이 부족하다 보니 한국의 하천 취수율(하천물을 각종 용도로 활용하는 비율)은 36%에 달한다. 가뭄으로 하천이 마를 경우 심각한 물 부족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유엔은 하천 취수율이 40% 이상인 이라크 이집트 등은 ‘매우 심각한’ 물스트레스국으로 분류한다. 20~40%는 ‘심각한’ 물스트레스국으로 분류한다.국내에 지어진 다목적댐은 20개로 총 저수량은 127억1400만㎥에 이른다. 하지만 전력 가동을 위한 용수를 제외하면 실제 용수 공급량은 연간 109억7400만㎥다. 국내 최대 규모인 소양강댐의 연간 용수 공급량은 12억㎥다.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면서 14일 기준으로 소양강댐 수위는 152.7m로, 1974년 댐 준공 이후 1978년 6월(151.9m)에 이어 역대 최저치다. 저수율은 평년의 66%에 불과하다.정부는 인근 화천댐과 춘천댐 등 전력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발전댐의 물을 급히 농업용수로 돌리는 비상대책을 지난 12일부터 시행 중이다. 하지만 최소한의 낙차(150m)가 있어야 전력 가동을 할 수 있는 소양강댐은 이달 말까지 비가 추가로 내리지 않을 경우 역대 초유의 발전 중단 위기에 처한다.
지천별로 소규모 댐 갖춰야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4대강 사업으로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 건설한 16개 보로 인해 7억2000만㎥의 수자원이 추가로 확보됐다. 물을 가두는 보(洑)와 강바닥 흙을 긁어낸 준설 공사,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등이 저수량을 크게 늘렸다는 설명이다. 보 설치 후 하천 수위가 평균 1.7m가량 상승하면서 인근 생활용수와 공업용수 취수장과 농업용수 양수장 등은 가뭄에도 불구하고 정상 가동 중이다.하지만 이는 4대강 유역에만 국한된다. 4대강 보로 혜택을 받는 농지는 전체 농지의 17%가량에 불과하다. 올 들어 극심한 가뭄 피해를 겪고 있는 지역도 강원, 경북 북부, 경기 북부 등 사업이 보류된 4대강 지천 지역이다.
정부는 2025년엔 4대강 지천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 66개 시·군에서 하루 평균 382만㎥의 수돗물이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간 기준으로 산정하면 13억9000만㎥의 물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소양강댐과 비슷한 규모의 댐을 최소한 한 개 이상 추가로 지어야 물 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소양강댐처럼 대규모 댐을 지을 수 있는 입지도 없는 데다 환경파괴 논란으로 사회적 갈등을 촉발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게 수공의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하천별로 소규모 보 등 물을 저장해 놓을 수 있는 다목적 저류지 조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성준 건국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지천별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소규모 다목적 저류지 등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