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헌식 칼럼] 신경숙 표절 파문 확산… 수사기관이 개입해야 하나
입력
수정
▲ 신경숙 작가(자료사진 = 한경DB)
신경숙 표절 사건과 관련해 검찰의 개입에 대한 찬반 논란은 분명 창작과 법리 관점의 충돌이다. 문학계에서는 대체적으로 수사기관의 개입을 바람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문학 작품에 대한 판단을 사법기관에게 맡기는 것은 창작에 대한 자유로운 소통과 자율적인 합의를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법적 처벌이 핵심이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사법 기관의 개입을 원하는 쪽에서는 신경숙 작가의 표절 사례는 범죄 행위이기 때문에 반드시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그들의 관점과 주장에는 문학계에 대한 불신이 도사리고 있다. 그동안 오랜 시간에 걸쳐 매번 문제제기가 이뤄져왔지만,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이제는 사법적인 조치가 개입돼 표절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동안 문학계가 유명작가의 표절 문제를 제대로 바로잡지 않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대개 표절의 경우, 원래 창작자가 소송이나 고발을 했지만 극단적으로 전혀 관계가 없는 제3자가 한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고발의 주체들의 시각은 단순히 다른 사람의 작품을 표절한 것은 저작권법을 어긴 것에만 머물지 않는다. 즉, 경제적인 문제를 들어 신경숙 표절 사안이 사법 기관에 맡겨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단순히 절도에 해당하는 것을 넘어 표절 작품을 판매해 수많은 고객들의 돈을 위법하게 챙겼다는 것이다. 즉 부당한 이득을 취했기 때문에 사법기관의 판단과 이에 대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표절 여부를 판단하는데 전문가적 식견을 갖고 평가하는 이들은 문학인들일 수밖에 없다. 상품 판매를 통한 부당이익을 따지는 것은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문학이 아니라 경제사범에게 벌을 주는 듯 싶다. 더구나 표절 문구나 표현 때문에 과연 독자들이 책을 소비했는지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은 소모적일 수 있다. 문학을 상품으로 온전히 여기는 이런 관점에 문학인들이 좋아할 리 없다.
신경숙 표절 사례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비단 한 개인의 잘못이나 출판사의 비위를 들추는데 목적이 있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더구나 근본적인 문제와 그것의 개선을 어떻게 이뤄낼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그것이 독자들이 원하는 작품과 미래를 위한 다양한 문학 작품이 창작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애써 상품의 논리를 빌린다면, 다른 나라의 제품을 적당히 여기저기 카피해서 물건을 만들던 개발도상의 산업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문학 생산 시스템을 바꾸어야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신경숙 표절 문제는 한국 문학이 갖고 있는 독특한 생산과 소비구조 때문이다. 그 구조는 디지털 시대를 맞은 문학의 위기를 가속화했다. 구조적인 문제를 외면하고 그것에 의존해 문학불황을 돌파하려 했기 때문에 문제를 키워왔다.
이번 사태는 모래 속에 머리를 처박는 타조처럼 행동을 했던 문학계에 언제인가 밀어닥칠 일이었다. 이는 시간문제였다.
문학전문출판사들은 문예지와 출판 지배력을 바탕으로 작가를 비평가를 통해 밀어주고 끌어주며 상품화했다. 선택된 작가는 다른 작가들과 달리 엄청난 특혜를 받으며 홍보됐다. 물론 이는 다른 작가들의 작품들이 위축되고 온전히 독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구조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했다.
문학평론가들은 이런 구조 속에서 유명한 작가의 흠결을 지적하지 않았다. 여기에서 흠결은 습작 같은 표절행위를 포함한다. 흠결의 지적은 상품성을 훼손이기 때문이다. 특히, 영향력이 강한 문학전문출판사에서 활동하는 이들은 그 출판사에서 많은 책을 출간한 신경숙 같은 작가의 작품을 비판하지 않았다. 주례사같이 칭찬일색의 찬사와 축복을 보낼 뿐이었다.
그럴수록 문학은 일반 대중과 멀어졌다. 문학의 위기는 이를 더욱 강화했다. 문학책이 팔리지 않고 더 이상 외연을 확장하지 않으면서 문학전문출판사들은 이미 유명해진 작가의 작품을 더욱 상품화했다. 그나마 책을 사는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익숙한 작가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해외작품에 파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국내 실적을 후광으로 해외번역 소개했고, 바로 대표적인 작가가 바로 신경숙이었다. 따라서 신경숙과 같은 작가의 작품의 표절 부분은 영원히 묻혀야 좋았다.
결국 그동안 위기를 논하는 한국 문학은 가뭄에 처한 우물안 개구리로 좁은 세계에 낡은 관성에 빠져 눈가리고 아웅하고 있었다. 세상은 21세기의 스마트환경을 치달아가고 있었지만 아날로그 텍스트 시대의 관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법리의 개입으로 고칠 수 있다면 벌써 고쳤을 것이다. 일단 신경숙 사례는 전근대적인 창작 행태를 이제는 바로잡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스스로의 인정과 성찰이 선행돼야 하고 이는 표절 의혹을 받고 있는 작가들 전반에 걸쳐 이뤄져야 한다.
또한 문학권력화된 폐쇄적인 소통구조를 일신해야 한다. 대표주자 작가를 스타를 만들고,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이들을 중심으로 지면 할애하던 관성을 벗어나 누구라도 자유롭게 작품을 논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수단으로 인터넷 매체를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것의 지향점은 시대적 상황과 독자들의 문학적 감수성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계 자체의 자율적인 자기 교정의 과정이 필요하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동아방송예술대학 교수)
※ 외부 필진의 의견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편집국기자 wowsports08@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서든`예정화vs`철권`남규리, `게임여신`의 D컵 볼륨대결 승자는?
ㆍ노홍철 근황 포착, `과거vs현재` 비교해보니..요즘 하는 일은?
ㆍ`20대女` 2kg 빠질 때, `홍진영` 5kg 감량한 이유 `이것`이 달랐다.
ㆍ전효성 시크릿 불화설 해명했지만… 한선화 SNS글 보니 `충격`
ㆍ이브의사랑 윤종화 `척수암`, 얼마나 `위험한 병`이길래? "하차 결정"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경숙 표절 사건과 관련해 검찰의 개입에 대한 찬반 논란은 분명 창작과 법리 관점의 충돌이다. 문학계에서는 대체적으로 수사기관의 개입을 바람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문학 작품에 대한 판단을 사법기관에게 맡기는 것은 창작에 대한 자유로운 소통과 자율적인 합의를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법적 처벌이 핵심이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사법 기관의 개입을 원하는 쪽에서는 신경숙 작가의 표절 사례는 범죄 행위이기 때문에 반드시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그들의 관점과 주장에는 문학계에 대한 불신이 도사리고 있다. 그동안 오랜 시간에 걸쳐 매번 문제제기가 이뤄져왔지만,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에 이제는 사법적인 조치가 개입돼 표절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동안 문학계가 유명작가의 표절 문제를 제대로 바로잡지 않은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대개 표절의 경우, 원래 창작자가 소송이나 고발을 했지만 극단적으로 전혀 관계가 없는 제3자가 한 것은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고발의 주체들의 시각은 단순히 다른 사람의 작품을 표절한 것은 저작권법을 어긴 것에만 머물지 않는다. 즉, 경제적인 문제를 들어 신경숙 표절 사안이 사법 기관에 맡겨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단순히 절도에 해당하는 것을 넘어 표절 작품을 판매해 수많은 고객들의 돈을 위법하게 챙겼다는 것이다. 즉 부당한 이득을 취했기 때문에 사법기관의 판단과 이에 대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표절 여부를 판단하는데 전문가적 식견을 갖고 평가하는 이들은 문학인들일 수밖에 없다. 상품 판매를 통한 부당이익을 따지는 것은 본질적인 것은 아니다. 문학이 아니라 경제사범에게 벌을 주는 듯 싶다. 더구나 표절 문구나 표현 때문에 과연 독자들이 책을 소비했는지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은 소모적일 수 있다. 문학을 상품으로 온전히 여기는 이런 관점에 문학인들이 좋아할 리 없다.
신경숙 표절 사례에서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것은 비단 한 개인의 잘못이나 출판사의 비위를 들추는데 목적이 있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이다. 더구나 근본적인 문제와 그것의 개선을 어떻게 이뤄낼 것인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그것이 독자들이 원하는 작품과 미래를 위한 다양한 문학 작품이 창작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애써 상품의 논리를 빌린다면, 다른 나라의 제품을 적당히 여기저기 카피해서 물건을 만들던 개발도상의 산업패턴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문학 생산 시스템을 바꾸어야 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신경숙 표절 문제는 한국 문학이 갖고 있는 독특한 생산과 소비구조 때문이다. 그 구조는 디지털 시대를 맞은 문학의 위기를 가속화했다. 구조적인 문제를 외면하고 그것에 의존해 문학불황을 돌파하려 했기 때문에 문제를 키워왔다.
이번 사태는 모래 속에 머리를 처박는 타조처럼 행동을 했던 문학계에 언제인가 밀어닥칠 일이었다. 이는 시간문제였다.
문학전문출판사들은 문예지와 출판 지배력을 바탕으로 작가를 비평가를 통해 밀어주고 끌어주며 상품화했다. 선택된 작가는 다른 작가들과 달리 엄청난 특혜를 받으며 홍보됐다. 물론 이는 다른 작가들의 작품들이 위축되고 온전히 독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구조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했다.
문학평론가들은 이런 구조 속에서 유명한 작가의 흠결을 지적하지 않았다. 여기에서 흠결은 습작 같은 표절행위를 포함한다. 흠결의 지적은 상품성을 훼손이기 때문이다. 특히, 영향력이 강한 문학전문출판사에서 활동하는 이들은 그 출판사에서 많은 책을 출간한 신경숙 같은 작가의 작품을 비판하지 않았다. 주례사같이 칭찬일색의 찬사와 축복을 보낼 뿐이었다.
그럴수록 문학은 일반 대중과 멀어졌다. 문학의 위기는 이를 더욱 강화했다. 문학책이 팔리지 않고 더 이상 외연을 확장하지 않으면서 문학전문출판사들은 이미 유명해진 작가의 작품을 더욱 상품화했다. 그나마 책을 사는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익숙한 작가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해외작품에 파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국내 실적을 후광으로 해외번역 소개했고, 바로 대표적인 작가가 바로 신경숙이었다. 따라서 신경숙과 같은 작가의 작품의 표절 부분은 영원히 묻혀야 좋았다.
결국 그동안 위기를 논하는 한국 문학은 가뭄에 처한 우물안 개구리로 좁은 세계에 낡은 관성에 빠져 눈가리고 아웅하고 있었다. 세상은 21세기의 스마트환경을 치달아가고 있었지만 아날로그 텍스트 시대의 관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
법리의 개입으로 고칠 수 있다면 벌써 고쳤을 것이다. 일단 신경숙 사례는 전근대적인 창작 행태를 이제는 바로잡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스스로의 인정과 성찰이 선행돼야 하고 이는 표절 의혹을 받고 있는 작가들 전반에 걸쳐 이뤄져야 한다.
또한 문학권력화된 폐쇄적인 소통구조를 일신해야 한다. 대표주자 작가를 스타를 만들고,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이들을 중심으로 지면 할애하던 관성을 벗어나 누구라도 자유롭게 작품을 논하고 평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수단으로 인터넷 매체를 활용할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것의 지향점은 시대적 상황과 독자들의 문학적 감수성일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학계 자체의 자율적인 자기 교정의 과정이 필요하다.
김헌식 대중문화평론가(동아방송예술대학 교수)
※ 외부 필진의 의견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편집국기자 wowsports08@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서든`예정화vs`철권`남규리, `게임여신`의 D컵 볼륨대결 승자는?
ㆍ노홍철 근황 포착, `과거vs현재` 비교해보니..요즘 하는 일은?
ㆍ`20대女` 2kg 빠질 때, `홍진영` 5kg 감량한 이유 `이것`이 달랐다.
ㆍ전효성 시크릿 불화설 해명했지만… 한선화 SNS글 보니 `충격`
ㆍ이브의사랑 윤종화 `척수암`, 얼마나 `위험한 병`이길래? "하차 결정"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