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단비' 맞을 수혜주는…
입력
수정
지면A19
11차례 추경의 추억, 코스피 지수 7번 올라주식시장에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이 가져올 효과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정부가 추경을 포함해 최대 46조원의 자금을 시중에 풀기로 한 만큼 코스피지수가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는 등 증시 체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전문가들은 추경 수혜 업종으로 유통과 은행, 건설주 등을 꼽는다.
과거엔 자동차·IT 등 수출주가 '추경 효과'
이번엔 은행·건설·유통 등 내수주 수혜 전망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추경은 증시의 상승 동력 노릇을 톡톡히 했다. 2001년 이후 추경 편성은 11차례 이뤄졌다. 추경 편성 발표 시점과 3개월 후 코스피지수를 비교해보면 7차례 지수가 올랐다. 금리 인하를 골자로 한 통화정책과 정부의 돈을 시중에 푸는 재정정책이 동시에 이뤄졌을 때는 효과가 더 컸다. 2009년 1월은 월간 코스피지수 상승률이 3.3%에 달했다.
이전 추경 때 수혜 업종은 유통과 자동차, 은행 등이었다. 유통 업종은 추경 발표 후 3개월 동안 평균 5.4% 올랐다. 코스피지수 이상으로 오른 횟수도 11번 중 8번이었다. 자동차(5.4% 상승, 8번), 은행(4.5%, 8번), IT가전(5.7%, 6번) 등도 유망 업종으로 꼽힌다. 정동휴 신영증권 연구원은 “과거 재해 복구를 목적으로 한 추경은 국회에서 의결하는 데 평균 15일이 걸렸다”며 “이르면 7월 초부터는 본격적인 추경 장세가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내수주냐 수출주냐
추경이 증시에 보탬이 될 것이란 점에선 전문가들의 견해가 일치한다. 하지만 수혜 업종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린다. 과거엔 내수주뿐 아니라 자동차, 정보기술(IT) 등 수출주들도 추경 혜택을 누렸다. 증시로 밀려든 자금이 시가총액 상위주들을 골고루 담은 덕분이다.
하지만 이번엔 내수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짜야 한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추경 편성이 이뤄진다고 해도, 해외 의존도가 큰 수출기업 실적엔 이렇다 할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이은택 SK증권 연구원은 “2013년 추경 편성 때는 새로 마련한 예산 대부분을 세수 결손을 메우고 사회간접자본(SOC)에 투자하는 데 활용했다”며 “비슷한 방식으로 예산이 집행된다고 보면 금융 부동산 등 일부 업종에만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도 “금리 요인까지 감안하면 은행 건설이 확실한 수혜주로 예상된다”며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에 따른 소비 위축을 해결하는 데 일부 재원이 쓰일 수 있는 만큼 유통주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추경 혜택이 중소형주에 집중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서동필 흥국증권 투자전략담당 이사는 “추경이 편성된다고 해도 실적이 개선되는 중소형주로만 돈이 몰리는 최근 분위기가 바뀔 것 같지 않다”며 “중소형주들의 비싼 몸값을 정당화하는 핑계가 하나 늘어난 셈”이라고 말했다.
추경은 국고채시장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3년물 국고채 금리는 현재 연 1.81%다. 지난 11일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채권 금리가 떨어지지 않는 모양새다. 정부가 예산 마련을 위해 국고채 발행을 늘리면 채권 금리가 오를 것이란 전망이 금리를 지탱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송형석/윤정현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