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마이웨이 언제까지…

'원내대표 거취' 갈등 소강 국면
국회법 개정안 폐기 뒤
"유승민에 퇴장 명분" 분석

劉 '버티기' 장기화되면
김무성 체제 와해 가능성도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30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거취를 둘러싼 새누리당 내 계파 갈등은 30일 소강 국면을 보였다. 친박근혜(친박)계와 비박근혜(비박)계 모두 공개적인 공격에 나서지 않은 가운데, 유 원내대표는 자신의 거취에 대한 침묵을 유지했다. 이를 두고 “명예로운 퇴장을 고민 중” “버티기에 들어간 것”이라는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이날 평소처럼 당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했다. 오후에는 기획재정부로부터 추가경정예산 관련 사전 보고도 받았다. 다만 1일 열리는 추경 관련 당정회의는 원유철 정책위원회 의장이 주재키로 했다.청와대와 친박계가 가장 바라는 카드는 유 원내대표의 자진 퇴진이다. 전날 최고위원회의 결과를 두고 친박계에서는 “유 원내대표가 아름답게 물러날 시간을 준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당 안팎에서는 오는 6일 국회법 개정안 재의를 위해 열리는 본회의가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출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재의 처리에는 새누리당 의원들이 참석하지 않을 예정이어서 자동 폐기될 가능성이 높다. 당·청 갈등의 기폭제가 된 국회법 개정안이 폐기되면 유 원내대표에게 ‘퇴장’의 명분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유 원내대표가 ‘버티기’에 들어가면 상황이 다소 복잡해진다. 친박계로서는 유 원내대표가 스스로 물러나지 않는 한 추가적인 압박카드가 여의치 않다. 현재 당내 권력 지형상 비박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의원총회에서 표 대결이 벌어진다면 친박계가 승리를 장담하기는 어렵다. 자칫 유 원내대표의 재신임이 결정되면 친박계는 물론 박근혜 대통령까지 정치적 타격을 피할 수 없다.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총사퇴하는 경우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새 지도부를 뽑게 된다. 이렇게 되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되는데 당헌·당규에 따라 원내대표가 위원장을 맡는다. 유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으로서 전당대회를 치르게 돼, 친박으로서는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친박계 최고위원 사퇴 카드는 당·청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게 돼 정치적 부담이 크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