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신 실크로드, 한·중 동반성장의 연결통로
입력
수정
지면A35
유라시아친선특급 (1)유라시아는 세계 육지 면적의 40%, 인구의 71%를 차지하는 세계 최대 대륙이자 거대 시장이다. 냉전 이후 단절과 분열을 극복하고 유럽, 아시아와 중동을 아우르는 새로운 번영과 평화의 공동체로 거듭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도 지니고 있다. 고대 실크로드는 유라시아 대륙을 동서로 아우르며 찬란한 고대 문명을 꽃피우게 한 연결 통로였다. 오늘날 이런 실크로드가 다시 세계 경제의 새로운 활력소이자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 구상'
한국 야심작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시너지효과 내 양국 미래 열 것"
김장수 < 주중국대사 >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도 실크로드를 오늘에 되살리자는 의도에서 시작됐다. 소통과 개방을 통해 유라시아 국가들이 평화롭게 교류하고 공동 번영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자는 구상으로 2013년 10월 박근혜 대통령이 처음 제안했다.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유라시아 친선특급’ 대표단이 15일 중국 베이징역을 출발해 19박20일간의 여정을 시작한다. 몽골, 러시아, 폴란드를 거쳐 독일 베를린에 이르는 1만4400㎞ 구간이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학술세미나, 환영리셉션 등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한 한·중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고대 실크로드의 발상지인 중국은 과거의 실크로드를 21세기 동서양의 연결 통로로서 부활시키려는 신(新)실크로드 정책, 즉 ‘일대일로(一帶一路)’ 구상을 제시해 유라시아로의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분단 이후 지리적으로 육로가 막혀 섬처럼 고립돼버린 한국에 중국은 유라시아로 통하는 관문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재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이자 한국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한국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협력 대상국이다.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구상과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이 다음 세 가지 측면에서 조화롭게 추진된다면, 양대 구상이 상호 ‘윈·윈’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첫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일대일로의 ‘연결성’이다. 두 구상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지역까지 연결될 때 유라시아 전체를 아우르는 완결성을 담보할 수 있다. 한·중은 전 지역을 빠짐없이 연결해 유라시아의 막대한 잠재력과 경제적 역동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둘째, 서로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새로운 기회를 잡아야 한다. 올해 안에 발효가 기대되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기반으로 양국 간 경제 협력은 유라시아 역내 다른 국가 간 다양한 협력으로 확대 발전함으로써 새로운 공동 번영의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유라시아 대륙의 평화와 통합에 기여해야 한다.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일대일로는 한반도를 포함해 추진할 때 북한의 개방을 점진적으로 유도함으로써 한반도 긴장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런 세 가지 측면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가 지향하고 있는 ‘하나의 대륙, 창조의 대륙, 평화의 대륙’과도 일치한다.
각계각층에서 선발된 유라시아 친선특급 대표단은 베이징에 머무는 동안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일대일로 전략의 연계 방안’ 국제세미나와 중국 정부, 재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친선특급 리셉션 등에 참석한다. 새로운 유라시아 실현은 유라시아의 모든 국가가 신뢰와 협력을 모아갈 때 가능하다. 유라시아 친선특급 행사를 계기로 한·중 협력이 새롭게 업그레이드되고 실크로드 위의 준마처럼 아름다운 미래를 향해 달려나가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유라시아 모든 국가가 평화롭게 번영하는 하나의 유라시아를 이뤄가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훗날 ‘통일한국’에서 출발한 우리 열차가 한반도를 넘어 베이징을 지나 유라시아 대륙을 힘차게 달리는 그 날을 꿈꿔 본다.
김장수 < 주중국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