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온스클럽은 We Serve 정신 나누는 공동체"
입력
수정
지면A36
궁금합니다 - 최규동 국제라이온스클럽 354-A지구 총재
'부자들만의 클럽' 오해
1917년 창설…210개국 140만명 회원
한국 1959년 설립…종주지구 354-A
장애인 등 지원, 재해복구 봉사활동

최규동 국제라이온스클럽 354-A지구 총재(64·사진)는 15일 서울 경운동 라이온스회관에서 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물었다. 그는 “라이온스클럽이라 하면 대부분 아예 이름 자체를 모른다”며 “설령 들어봤다 해도 그저 ‘골프나 치러 다니는 부자들만의 클럽’이라고 흔히 착각한다”고 소탈하게 웃으며 말했다.라이온스클럽은 1917년 미국 시카고 출신 사업가 멜빈 존스가 20여명의 기업인과 함께 창설한 봉사단체다. 210개국, 140만여명의 회원을 거느리고 있으며 본부는 시카고 인근 오크브룩에 있다. 1925년 라이온스클럽 행사에 연사로 초청된 헬렌 켈러가 “‘라이온(라이온스클럽 회원을 부르는 명칭)’들이여, 십자군이 돼달라”며 라이온스클럽 회원들에게 장애인 지원을 촉구한 건 유명한 일화다. 라이온스클럽 회원이 되려면 반드시 기존 회원의 추천이 있어야 하며 연간 일정 회원비를 내야 한다. 연령 또는 소득 제한 규정은 없다.

최 총재는 “라이온스클럽 가입 26년 만에 종주지구의 총재가 돼 자랑스럽다”면서도 “회원 수 감소 문제 때문에 어깨가 매우 무겁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가 어려워진 데다 봉사단체가 많아지다 보니 수도권을 중심으로 회원 수가 최근 수년째 줄어들고 있다”며 “회원 한 명당 1인씩 추천하는 ‘애스크 원(Ask One)’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서울 주요 대학 재학생들이 라이온스클럽의 ‘캠퍼스 클럽’을 꾸리는 건 매우 고무적이라고 라이온스클럽 측은 전했다. 최 총재는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에 라이온스클럽의 캠퍼스 클럽이 있으며 올해 안에 이화여대와 성균관대, 한양대에도 생길 예정”이라며 “앞으로 더욱 많은 젊은이와 소통하며 라이온스클럽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싶다”고 말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