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타결' 최대 수혜국은 중국

사전 입지 다져와 에너지·건설·플랜트 등서 우위 확보
미국 등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과 이란의 핵 협상 타결에 따른 최대 수혜국으로 중국이 꼽히고 있다. 국제사회의 경제제재 상황에서도 이란을 외면하지 않아온 중국이 빠르게 이란 내 입지를 강화할 것이란 전망에서다.

세계 4위 원유매장국 이란과 원유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관계가 공고해지면 중국 내 원유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는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중국에 보다 적극적인 ‘구애’를 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에너지 부문서 입지 다져온 중국

미국 외교 전문지 포린폴리시는 15일 “이란 핵 협상이 지난 14일 13년 만에 타결되면서 이란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 해제가 임박해졌다”며 “중국과 이란의 경제관계가 다른 국가보다 빠르게 진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지난해 중국과 이란의 교역액은 518억달러(약 59조1660억원)에 달했다. 전년 대비 32%가량 증가했다. 작년에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만나 에너지와 고속도로, 건축자재를 주요 협력부문으로 삼기로 했다.

핵 협상 타결 전 대부분 국가는 미국 등의 눈치를 보며 이란 경제제재에 동참했다. 서방 국가들이 이란 내 사업을 보류·철수하는 과정에서 생긴 공백을 중국이 메웠다. 중국 기업은 이란의 에너지, 상품, 건설·플랜트 프로젝트 시장 등에 전방위적으로 진출을 꾀했다. 수입량은 제한했지만 이란에서 계속 원유를 수입했고, 기업 간 대규모 투자협력 논의도 지속했다.

중국은 2009년부터 이란의 최대 교역국이 됐고, 이란이 수출하는 원유의 절반을 사들이게 됐다. 미국 금융전문지 배런스는 “이란 등 중동지역은 대규모 프로젝트 관련 정보 등을 수집하는 게 쉽지 않아 인맥이 수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며 “이란 시장에서 미리 기반을 다져온 중국이 이란의 시장 개방 이후 가장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고 전했다. 이란 정부 관계자들은 지난 4월 핵 협상이 잠정 타결되자마자 중국을 방문해 중국 최대 국영석유업체 시노펙 등과 이란 내 원유시설 투자를 논의하기도 했다.전문가들이 주목하는 사업 중 하나는 이란과 중국 간 파이프라인 건설이다. 이란은 파키스탄까지 이어지는 천연가스관 건설을 추진 중이다. 중국 역시 파키스탄까지 연결되는 3000㎞의 철도, 도로, 가스관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각 사업이 완료되면 세계 2위 매장량을 확보하고 있는 이란의 천연가스가 육로로 중국에 공급될 수 있다.

○중국의 중동 전략에도 호재

전문가들은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가 풀리면 중국의 중동 전략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은 지금까지 중동 지역 내 마땅한 ‘우군’이 없었다. 중동 산유국은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로 미국과 관계가 돈독한 아랍 국가들이다. 중국은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 등 중동 문제 전반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과 이란의 관계가 더 밀접해지면 중국이 이란을 발판으로 중동 지역에서 영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