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민영화 5번째 도전…과점주주 후보군 8~10곳과 접촉

우리은행 매각 재추진

예보 보유지분 30% 이상 과점주주에 매각 계획
정부, 사모펀드 참여 부정적…지주사 없는 사업구조 한계
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를 1년여 만에 다시 추진한다. 2010년 이후 다섯 번째 시도다. 정부는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새로 도입하고, 정부의 경영간섭을 막을 장치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올해 안에 민영화가 성공할 것이라는 전망은 드물다.
○과점주주 찾기 첫 시도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가 21일 발표한 우리은행 민영화 골자는 크게 두 가지다. 먼저 매각 방식을 바꿨다. 정부는 2010년 이후 네 차례 민영화 시도 때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51.04%) 중 30% 이상을 1개 투자자에게 파는 방식을 고수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이에 따라 이번에는 확실한 대주주를 찾아주는 경영권지분 매각 외에 과점주주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대량의 지분을 인수할 주체를 찾기 힘들다 보니 지분을 쪼개 여러 투자자에게 팔겠다는 것이다.

민영화 이후 정부가 우리은행 경영에 간섭하지 않겠다는 약속도 내놨다. 예보는 2001년 우리은행과 경영정상화 이행약정(MOU)을 맺은 뒤 매년 경영목표를 정해 목표달성 여부에 따라 임직원 급여와 인사 등에 관여했다. 공자위는 과점주주 매각이 완료되는 대로 MOU를 해지해 우리은행의 자율경영을 보장하기로 했다.

○연내 매각은 힘들 듯우리은행 민영화의 큰 방향이 나오면서 과점주주 매각에 얼마나 많은 투자자가 몰릴지에 관심이 쏠린다. 공자위는 예보 지분 48.07%(콜옵션 행사 대비분 2.97%는 제외) 가운데 30~40%를 과점주주에게 희망수량입찰 방식으로 매각할 계획이다. 1개 투자자당 최소 4%, 최대 10%의 지분을 확보하는 걸 허용하겠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우리은행은 지난 3개월간 과점주주로 참여할 의향이 있는 8~10개 투자자와 접촉했다. 대부분은 사모펀드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산업·금융자본은 주주로 참여해도 독자적 경영권을 확보할 수 없어 투자 유인이 크지 않다는 데 있다. 사모펀드가 투자자로 나서는 데 대해선 과거 론스타 먹튀 논란 탓에 정부 내부에서 부정적 기류가 강하다. 공자위도 이날 “현재까지 확인한 투자 수요만으로는 당장 매각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사실상 연내 매각은 물 건너간 것으로 보고 있다는 의미다.

우리은행 사업구조도 걸림돌이다. 정부는 과거 민영화 추진 과정에서 계열 카드사, 증권사를 모두 팔아 우리금융지주 체제를 해체하고 은행 부문만 남겼다. 우리은행 측은 KB, 신한, 하나금융과 달리 은행 부문밖에 없어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소연한다. 주가가 낮은 데는 이런 영향도 있다. 우리은행의 이날 주가는 9040원이다. 이런 문제가 있는데도 정부 내에선 주가가 1만원도 안돼 민영화를 하면 공적 자금 회수가 어렵다는 인식이 강하다.박상용 공자위원장은 “주가가 높을 때 팔면 공적 자금 회수를 위해 좋지만 한없이 기다릴 수는 없다”며 “민영화를 빨리 하는 게 (오히려) 주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태명/김일규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