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주가, 매수청구권가 밑으로 첫 하락…삼성 "합병 예정대로…매수청구주 다 살 것"
입력
수정
지면A12
엘리엇, 주식 처분 가능성에 28일 종가 5만7000원에 마감
"매수청구액 1조5000억 넘어도 사내 유보금으로 충분히 매입"

◆매수청구금액 1조5000억원 넘나이날 삼성물산 주가는 전날보다 1.55% 떨어진 5만7000원에 마감했다. 삼성물산 주식 7.12%를 갖고 있는 미국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가 24일 실질주주증명서를 반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주식 매각 가능성이 제기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주가가 더 떨어지면 주주들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시장에서 파는 것보다 높은 값을 받을 수 있어서다.
관심은 과연 매수청구금액이 합병을 무산시킬 정도에 이를 것이냐 여부다.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은 합병계약서에서 ‘주식매수 청구금액이 1조5000억원을 넘으면 합병을 취소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선택이지, 의무는 아니다. 매수청구금액이 1조5000억원을 넘더라도 삼성물산이 모두 사들이면 합병은 이뤄진다.매수청구금액이 1조5000억원이 되려면 이날 종가를 기준으로 약 2632만주가 매수청구를 해야 한다. 삼성물산의 의결권 있는 주식 총수(1억5621만7764주)의 약 17%다. 하지만 아무나 주식매수를 청구할 수 없다. 지난 2일부터 16일 사이에 합병 반대 의사를 표명했고, 17일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 합병에 반대했거나 기권했어야 한다. 지난 주총에서 반대 또는 기권했거나 주총에 참석하지 않은 주주는 전체의 41.1%다. 이 중 얼마나 많은 주주가 주총 전에 합병 반대 의사를 표명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17%에는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삼성 “매수청구 주식 모두 사겠다”
삼성 측도 매수청구금액이 1조5000억원을 넘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일단 엘리엇과 같은 펀드와 기관투자가들은 이익 실현이 목적이기 때문에 매수청구를 할 가능성이 작다는 설명이다. 엘리엇의 매입 평균 단가는 약 6만원 수준으로 매수청구권 가격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물론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엘리엇이 다양한 옵션계약을 통해 주가가 매입가보다 낮아도 이익을 볼 수 있게 설계해 놨을 수 있다는 게 증권가의 해석이다. 엘리엇이 매수청구권을 신청할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다. 엘리엇은 합병 발표 전에 산 주식(4.95%)에 대해서만 매수청구를 할 수 있다.
삼성은 주식매수청구 가격이 얼마이든 간에 합병을 그대로 진행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관계자는 “지난달 10일 KCC에 자사주를 매각하면서 확보한 돈 6742억원과 사내 유보금 등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물론 청구가액이 커지면 돈을 많이 써야 해 부담이 된다. 하지만 사들인 주식은 자사주가 되므로 경영권 방어 등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는 나쁘지 않다는 설명이다. 삼성물산은 KCC에 자사주를 매각한 지난달 10일부터 3개월간은 자사주를 매입할 수 없지만, 매수청구가 들어온 주식을 사는 것은 예외로 인정된다.
남윤선 기자 inkling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