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과 아주대병원, 세계 최초 '고혈압이 당뇨병 위험인자' 밝혀내
입력
수정
분당서울대병원과 아주대병원이 고혈압이 당뇨병의 직접적 위험인자라는 사실 즉 혈압이 상승하면 당뇨병 발생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세계 최초로 밝혀내 주목 받고 있다.
6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그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고혈압이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반대로 고혈압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당뇨병의 발생률이 증가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임수(사진) 교수팀과 아주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조남한 교수팀은 우리나라 안산과 안성 지역을 기반으로 당뇨병이 없는 8359명에 대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전향적으로 추적·관찰을 진행했다. 연구 대상자의 나이는 평균 49.2세(40-69세)였다.
정기적 추적과 연구 결과, 연구팀은 혈압이 높으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밝혀냈다. 정상 혈압을 보인 사람(120/80 mmHg)에 비해 고혈압 전단계인 경우(120-139/80-89 mmHg)는 당뇨병 발생 위험이 23% 높았고, 고혈압 1단계(140-159/90-99 mmHg)에서는 26%, 고혈압 2단계(≥160/100 mmHg)에서는 그 위험도가 60%나 높았다.
분석 과정에서 당뇨병 발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연령, 성별, 비만도, 간기능 이상, 고지혈증 유무, 당뇨병 가족력, 운동량, 음주량 등의 모든 위험 요소를 보정했고 철저한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고혈압이 당뇨병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라는 것을 규명했다.임 교수 등은 연구에서 모든 환자의 차트를 분석해 항고혈압제 치료시작 시점과 약제의 종류를 분석했다. 총 381명(4.4%)이 한 가지 이상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이 중 칼슘길항제(37.0%),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 (21.8%), 이뇨제(12.3%), 베타차단제(11.0%) 순으로 복용약의 빈도를 보였다. 이 가운데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 치료 환자들에서 당뇨병 발생빈도가 낮았고, 다른 약제들은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를 주도한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 교수는 “고혈압 자체가 대사 질환의 핵심이 되는 인슐린 저항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며 “즉 혈압이 상승하면 인슐린 저항성이 심해지고 이로 인해 췌장이 손상을 받아 인슐린 분비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심근경색, 협심증, 중풍 등의 대표적 위험인자인 고혈압이 당뇨병 발생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하며 혈압 자체를 강하시키면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혈압과 당뇨병이 개별적 존재가 아니라 운명을 같이 하며, 이 경우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폭발적으로 증가 할 수 있기 때문에 고혈압 환자는 당뇨병을 포함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함을 밝히고 있다.
고혈압-당뇨병 발생의 나쁜 연결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혈압이 높아지는 초기부터라도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임수 교수는 지적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운동·식이·환경 등 생활요법을 통해 지표를 개선하고, 혈압 상승의 초기부터 적절한 항고혈압제 치료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당뇨병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지인 임상당뇨병지(Diabetes Care) 2015년 7월호에 게재됐다. 성남=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6일 분당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그동안 많은 연구를 통해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고혈압이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반대로 고혈압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서 당뇨병의 발생률이 증가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임수(사진) 교수팀과 아주대학교병원 예방의학과 조남한 교수팀은 우리나라 안산과 안성 지역을 기반으로 당뇨병이 없는 8359명에 대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 전향적으로 추적·관찰을 진행했다. 연구 대상자의 나이는 평균 49.2세(40-69세)였다.
정기적 추적과 연구 결과, 연구팀은 혈압이 높으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밝혀냈다. 정상 혈압을 보인 사람(120/80 mmHg)에 비해 고혈압 전단계인 경우(120-139/80-89 mmHg)는 당뇨병 발생 위험이 23% 높았고, 고혈압 1단계(140-159/90-99 mmHg)에서는 26%, 고혈압 2단계(≥160/100 mmHg)에서는 그 위험도가 60%나 높았다.
분석 과정에서 당뇨병 발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연령, 성별, 비만도, 간기능 이상, 고지혈증 유무, 당뇨병 가족력, 운동량, 음주량 등의 모든 위험 요소를 보정했고 철저한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고혈압이 당뇨병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라는 것을 규명했다.임 교수 등은 연구에서 모든 환자의 차트를 분석해 항고혈압제 치료시작 시점과 약제의 종류를 분석했다. 총 381명(4.4%)이 한 가지 이상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이 중 칼슘길항제(37.0%),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 (21.8%), 이뇨제(12.3%), 베타차단제(11.0%) 순으로 복용약의 빈도를 보였다. 이 가운데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 치료 환자들에서 당뇨병 발생빈도가 낮았고, 다른 약제들은 연관성이 없었다.
연구를 주도한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 교수는 “고혈압 자체가 대사 질환의 핵심이 되는 인슐린 저항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며 “즉 혈압이 상승하면 인슐린 저항성이 심해지고 이로 인해 췌장이 손상을 받아 인슐린 분비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당뇨병이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심근경색, 협심증, 중풍 등의 대표적 위험인자인 고혈압이 당뇨병 발생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하며 혈압 자체를 강하시키면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혈압과 당뇨병이 개별적 존재가 아니라 운명을 같이 하며, 이 경우 심혈관질환의 위험이 폭발적으로 증가 할 수 있기 때문에 고혈압 환자는 당뇨병을 포함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종합적으로 관리해야 함을 밝히고 있다.
고혈압-당뇨병 발생의 나쁜 연결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혈압이 높아지는 초기부터라도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고 임수 교수는 지적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운동·식이·환경 등 생활요법을 통해 지표를 개선하고, 혈압 상승의 초기부터 적절한 항고혈압제 치료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당뇨병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지인 임상당뇨병지(Diabetes Care) 2015년 7월호에 게재됐다. 성남=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