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 수에즈 운하 개통…아시아·유럽 새 지름길 열렸다
입력
수정
지면A12
선박 통과 시간 7시간 단축


수에즈 운하청은 새 운하 개통으로 선박의 운하 통과 시간은 18시간에서 11시간, 대기시간은 8~11시간에서 3시간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했다. 운하 폭이 좁아 쌍방향 통행이 불가능한 구간이 있었지만 새 운하 덕에 쌍방향 통행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수에즈 운하청은 새 운하의 경제적 효과를 자신한다. 운하가 창출하는 이익이 현재 연간 53억달러 수준에서 2023년엔 132억달러로 세 배 가까이 오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일통과 선박 수 역시 49척에서 97척으로 두 배 정도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반면 영국 시장조사업체 캐피털이코노믹스의 윌리엄 잭슨 이코노미스트는 “이집트 정부의 이익 전망치를 맞추려면 2023년까지 세계 교역 규모가 매년 9%씩 성장해야 한다”며 “지난 4년 동안 세계 무역 증가율은 연평균 3%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