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레이더]"원·달러 환율, 대내외 악재 속 1190원대 상향 돌파 시도"
입력
수정
21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대내외 악재 속에 1190원대 상향 돌파를 시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밤사이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185.35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1.50원)를 고려하면 전 거래일 현물환 종가(1185.10원)보다 1.25원 하락한 셈이다.
이날 국내 외환시장은 대내외 악재에 복합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금리 인상 기대와 중국 증시 급락 및 위안화 절하, 국제 유가 급락 등 부정적인 대외 재료에 전날 북한의 도발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이날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대외 악재에 쉼 없이 시장이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도발 재료까지 불거지며 우리 금융시장은 불안한 흐름을 이어 갈 것"으로 내다봤다.북한 재료는 단기 이슈로 판단했지만 최근 원·달러 환율이 상승 재료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그러나 외환당국이 지속적으로 상단을 관리하고 있어 제한적인 상승세가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전 연구원은 "외환당국은 특히 이날 북한 이슈와 관련해 원·달러 환율 급등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날 원·달러 환율은 장 중 북한 뉴스와 당국 대응 주목하며 1190원 상회를 시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
밤사이 뉴욕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원·달러 1개월물은 1185.35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1.50원)를 고려하면 전 거래일 현물환 종가(1185.10원)보다 1.25원 하락한 셈이다.
이날 국내 외환시장은 대내외 악재에 복합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금리 인상 기대와 중국 증시 급락 및 위안화 절하, 국제 유가 급락 등 부정적인 대외 재료에 전날 북한의 도발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이날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대외 악재에 쉼 없이 시장이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북한의 도발 재료까지 불거지며 우리 금융시장은 불안한 흐름을 이어 갈 것"으로 내다봤다.북한 재료는 단기 이슈로 판단했지만 최근 원·달러 환율이 상승 재료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그러나 외환당국이 지속적으로 상단을 관리하고 있어 제한적인 상승세가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전 연구원은 "외환당국은 특히 이날 북한 이슈와 관련해 원·달러 환율 급등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이날 원·달러 환율은 장 중 북한 뉴스와 당국 대응 주목하며 1190원 상회를 시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