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오송역세권 개발, 이번에도 상전벽해 될까?
입력
수정
오송생명과학단지 맞닿은 경부호남 KTX 유일 분기역
청주시 도시개발 구역지정 및 개발계획 고시
![](https://img.hankyung.com/photo/201508/01.10446297.1.jpg)
오송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 추진위원회와 피데스개발은 지난 27일 ‘오송역세권지구 도시개발사업 현장 설명회’를 갖고 청사진을 발표했다.오송역세권은 충북 청주 오송역 일원 약 71만3564㎡부지에 도시기반시설 47.3%, 상업업무용지 14.4%, 주거용지 38.3%로 개발 계획이 승인됐다. 도시개발법에 의한 환지방식으로 추진되며 2018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 지난 7일 청주 오송역세권 도시개발사업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이 고시되면서 사업 구도가 확정됐다.
송정화 추진위원장은 “오송역은 오송 제1, 제2 생명과학단지 등 오송 바이오밸리와 맞닿아 있고 경부호남 KTX유일 분기역"이라며 "미래형 역세권 개발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송역세권개발은 현재 완공된 오송 제1 생명과학단지, 총 60개 기업, 1만4179명의 직접 배후수요가 있다. 2016년 완공 예정인 오송 제2 생명과학단지와 함께 오송바이오밸리를 구성하는 핵심 사업이 될 전망이다.오송역 북측에는 보건의료행정타운,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 등이 맞닿아 있다. 오송 제1생명과학단지는 개발이 완공된 상태다. 식약처 등 6개 정부기관과 CJ헬스케어, LG생명과학, 메디톡스 등 60개 내로라 하는 바이오기업도 입주해 운영 중이다.
오송역 서측에 있는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도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 328만3844㎡ 면적, 1만1618가구, 계획인구 3만208명으로 2016년까지 조성 예정이다. 오송 제1, 제2 생명과학단지, 오송역세권 개발이 완료되면 863만1016㎡, 5만3000명의 오송바이오밸리가 완성된다.
오송역은 반경 10km 이내 청원첨단산업단지, 청주일반산업단지 등 7개 산업단지가 있다. 반경 15km 이내에 12개 산업단지가 있다. 충청대학교, 고려대 세종캠퍼스, 홍익대 세종캠퍼스, 한국교원대학교 등 대학도 4km 이내에 있다.한편 오송역은 지난 4월 호남선 KTX가 개통 완료됐다. 오송역에서 서울까지 40분대, 광주까지 50분대, 부산까지 1시간50분대 이동이 가능해 전국 2시간 대 반나절 생활권 시대를 열었다는 평가다. 코레일연구원 ‘행정중심복합도시 철도운영전략 연구(2013)’에 따르면 2030년 1일 이용객수가 2만6000여 명, 연간 950만 여명 수준으로 이용객이 현재보다 2배 이상 급증한다는 전망이다.
김하나 한경닷컴 기자 ha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