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장관 "비정규직 사용기간 4년으로 늘려야"
입력
수정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비정규직 사용기간을 현행 2년에서 4년으로 늘려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서울 용산구 한진중공업 건설부문을 방문해 가진 '비정규직 고용안정 현장간담회'에서 "비정규직이 600만명으로, 94%가량이 중소기업 근로자인 것이 현실"이라며 "청년층의 정규직 전환 비율은 25% 수준이지만, 35세 이상 장년층은 9%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이 장관은 "35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원하면 2년을 연장할 수 있게 하고, 4년을 근무해도 정규직 전환이 안 되면 이직수당 10%를 더 받도록 해 비정규직 사용에 대한 비용 부담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노사정 대화에 참여하는 노동계의 입장과는 상반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노동계는 비정규직 사용기간 연장이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만 더 늘리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김대환 노사정위원장도 새누리당 초청 강연에서 이를 비판했다.
이 장관은 "기업이 유연성 확보 차원에서 비정규직을 쓰는 건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인건비 절감 차원에서 쓰는 것은 안 된다"며 "비정규직의 고용이 너무 불안정하므로 고용을 안정시킬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파견근로 확대에 대해서도 노동계와 이견을 드러냈다.이 장관은 "55세 넘는 분들은 퇴직하면 자기 스스로 직장을 찾는 게 굉장히 어렵다"며 "55세 이상은 다양한 파견고용 형태를 인정하는 게 일자리를 찾는 데 도움을 주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이는 현재 32개 업종으로 제한된 파견근로 허용 대상에 55세 이상 고령자를 추가하자는 얘기다.
그러나 노동계는 파견근로가 비정규직 양산과 노동조건 악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며 이를 반대하고 있다.공공기관 임금피크제에 대해서도 노동계와 다소 다른 견해를 나타냈다.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은 노사정 대화 재개의 조건으로 "정부가 일방적인 공공부문 임금피크제 도입을 중단하고, 이를 원포인트 협의체에서 논의하자"고 제안했고, 노사정 4인 대표자회의는 이를 받아들였다.
이 장관은 "정부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공공기관에 경영평가 가점을 주기로 하고 임금피크제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갑자기 이를 중단하고 원포인트 협의체에서 논의하면 완전히 흐트러지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임금피크제는 진행될 수밖에 없으며, 그대로 시행을 하되 다른 보완적인 것을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CJ가 문화공룡? 글로벌공룡과 싸우려면 체급 더 키워야"] [식품업계 미투상품, 편견 넘어선다…"시장 확대에 도움"] [최치훈 통합삼성물산 초대 의장 "약속 지키겠다…시너지 급선무"] [이마트·롯데마트 광교서 '체험형 매장' 격돌] ['별' 단 포털, 모바일·해외 '정조준']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이 장관은 이날 서울 용산구 한진중공업 건설부문을 방문해 가진 '비정규직 고용안정 현장간담회'에서 "비정규직이 600만명으로, 94%가량이 중소기업 근로자인 것이 현실"이라며 "청년층의 정규직 전환 비율은 25% 수준이지만, 35세 이상 장년층은 9%밖에 안 된다"고 말했다.이 장관은 "35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원하면 2년을 연장할 수 있게 하고, 4년을 근무해도 정규직 전환이 안 되면 이직수당 10%를 더 받도록 해 비정규직 사용에 대한 비용 부담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는 노사정 대화에 참여하는 노동계의 입장과는 상반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노동계는 비정규직 사용기간 연장이 고용 불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만 더 늘리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김대환 노사정위원장도 새누리당 초청 강연에서 이를 비판했다.
이 장관은 "기업이 유연성 확보 차원에서 비정규직을 쓰는 건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인건비 절감 차원에서 쓰는 것은 안 된다"며 "비정규직의 고용이 너무 불안정하므로 고용을 안정시킬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파견근로 확대에 대해서도 노동계와 이견을 드러냈다.이 장관은 "55세 넘는 분들은 퇴직하면 자기 스스로 직장을 찾는 게 굉장히 어렵다"며 "55세 이상은 다양한 파견고용 형태를 인정하는 게 일자리를 찾는 데 도움을 주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이는 현재 32개 업종으로 제한된 파견근로 허용 대상에 55세 이상 고령자를 추가하자는 얘기다.
그러나 노동계는 파견근로가 비정규직 양산과 노동조건 악화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며 이를 반대하고 있다.공공기관 임금피크제에 대해서도 노동계와 다소 다른 견해를 나타냈다.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은 노사정 대화 재개의 조건으로 "정부가 일방적인 공공부문 임금피크제 도입을 중단하고, 이를 원포인트 협의체에서 논의하자"고 제안했고, 노사정 4인 대표자회의는 이를 받아들였다.
이 장관은 "정부가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공공기관에 경영평가 가점을 주기로 하고 임금피크제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갑자기 이를 중단하고 원포인트 협의체에서 논의하면 완전히 흐트러지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임금피크제는 진행될 수밖에 없으며, 그대로 시행을 하되 다른 보완적인 것을 논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CJ가 문화공룡? 글로벌공룡과 싸우려면 체급 더 키워야"] [식품업계 미투상품, 편견 넘어선다…"시장 확대에 도움"] [최치훈 통합삼성물산 초대 의장 "약속 지키겠다…시너지 급선무"] [이마트·롯데마트 광교서 '체험형 매장' 격돌] ['별' 단 포털, 모바일·해외 '정조준']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