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땐 뱅크론·상장지수펀드 투자해볼 만
입력
수정
지면B5
KB 국민은행 스타테이블
여기서 본질적인 고민을 해봐야 한다. 앞으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가져올 시장 변동성 확대나 위험 측면보다는 왜 기준금리 인상 논의가 이뤄지는지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미국 경제의 정상화를 의미한다. 미국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내총생산(GDP) 내 소비는 이미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보는 이유다.그렇다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환경에서 투자 전략은 어떻게 짜야 할까.
가장 먼저 생각할 수 있는 상품이 뱅크론(bank loan)이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미국 채권 가격은 떨어진다. 하지만 뱅크론이나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직접 투자는 기준금리 인상 환경에서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상품이다.
뱅크론은 시니어론(senior loan)이라고도 불린다. BBB 이하 신용등급을 갖고 있는 기업에 대한 은행대출을 유동화한 채권을 말한다. 런던 은행 간 적용금리(libor)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서 시중금리가 오르면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다. 물론 연체나 기업 부도 등으로 수익률이 급락할 위험도 있다. 이 때문에 선순위 담보를 미리 확보해 부도 때 회수 가능성을 높이는 식으로 안전장치도 마련했다.최근 뱅크론 부도율은 역사적인 평균치보다 낮다. 미국 경기 회복에 따른 달러화 강세도 뱅크론에는 호재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달러화 강세에 따른 수혜를 같이 노릴 수 있어서다.
선진국에 분산 투자하는 중소형주 펀드도 눈여겨볼 만하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논의와 함께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흐름을 살펴보자. 일본, 유럽 등 선진국 위주의 흐름이 계속됐다. 신흥국에서는 꾸준히 자금이 이탈하고 있지만 선진국에는 자금 유입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됐다.
신흥국에서는 재정 건전성 개선과 장기 성장이 기대되는 인도에 관심을 가져도 좋다.
박선원 < 국민은행 골드앤드와이즈 명동스타PB센터 P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