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P, 연내 타결 물 건너가나
입력
수정
지면A12
차·낙농품·의약품 등 3대 쟁점 막판 절충 돌입…각국 입장 못좁혀 합의 '불투명'
30일 각료협의서 막판 협상
캐나다선거 전에 못끝내면 협상 장기 표류 가능성
○일괄 타결에서 이슈별 타결로21일 워싱턴 외교가에 따르면 협상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은 일괄 타결보다 이슈별 순차타결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3대 민감 이슈에 대해 당사국 간 집중 협상을 통해 답을 내겠다는 전략이다.
미국과 일본, 멕시코, 캐나다 등 자동차 원산지 규정과 관련된 4개국은 샌프란시스코에서 실무 협의를 진행 중이다. 지난 8~10일 협의에선 견해차만 확인한 채 협상을 끝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에서 정한 대로 TPP 역내에서 생산한 부품 비중이 60% 이상은 돼야 관세면제 대상으로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TPP 참가 이외 나라에서도 부품을 조달하는 일본은 40%대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협상 주도국인 미국과 일본이 생각하는 최상의 시나리오는 늦어도 이달 말이나 내달 초에는 기본합의를 하고, 내년 초 서명과 내년 상반기 각국 국회 비준을 거쳐 내년 말 발효에 들어가는 일정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지난 16일 “올해 안에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지만 일본 정부 관계자는 “현 시점에서 합의에 이를 확률은 60~70%”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에 협상 분위기를 전했다.
캐나다, 미국, 일본 등의 정치 일정을 고려할 때 내달 19일 캐나다 총선거 전에 기본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협상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캐나다는 집권당 지지율이 추락하고 있어 정권이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협상 기조가 바뀔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은 내년 2월부터 민주·공화 양당 대통령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예비선거에 들어가고 일본은 내년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다. 선거에서의 논란과 부정적 영향 등을 고려해 TPP 협상이 뒷전으로 밀릴 수 있다.다만 오는 11월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에서 참가국 정상들이 서로 양보하는 ‘통 큰 합의’를 할 것이란 기대도 있다. 우태희 산업통산자원부 차관보는 “11월 APEC 회의에서 타결된다해도 오바마 대통령이 협정안에 서명하는 것은 90일 후인 내년으로 미뤄지게 된다”며 “한국 정부는 이와 관련해서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대통령무역촉진권한(TPA)법에 따라 대통령이 협정안에 서명하기 90일 전까지 의회에 통보해야 한다.
도쿄=서정환 특파원/워싱턴=박수진 특파원/김재후 기자 ceose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