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페이, 애플 압도했다"…미국서 기선제압
입력
수정
지면A17
기존의 '긁는 방식'인 마그네틱 단말기서도 작동“애플페이·안드로이드페이보다 낫다.”(포천) “애플페이가 안 되는 곳에서도 된다.”(월스트리트저널)
미국 언론 "범용성 높다" 호평
지난달 28일 미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삼성전자의 새로운 모바일 결제 서비스 삼성페이에 대한 현지 언론들의 평가다. 애플과 구글의 안방인 미국 시장에서 기선 제압에 성공했다는 분석이다.미국에서의 성공은 앞으로 세계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 서비스 주도권을 쥘 수 있을지 가늠하는 척도가 된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연내 중국 유럽에서도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형(마그네틱) 신용카드 결제기에서도 작동하는 범용성을 삼성페이의 최대 장점으로 꼽았다. “실리콘밸리의 오랜 숙제(모바일 결제 확대 문제)를 삼성페이가 해결했다”며 “왜 진작 그런 해결책을 생각하지 못했을까”라고 반문했다. 경제지 포천은 ‘삼성페이가 애플페이, 안드로이드페이보다 나은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삼성페이는 지갑을 대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정보기술(IT) 전문매체 테크 인사이더는 “완벽에 가까운 서비스”라고 호평했다. 기즈모도 “모바일 결제는 성장 잠재력이 큰 분야”라며 “삼성페이가 이 시장에서 가장 유망한 서비스를 내놨다”고 평가했다.
미국에서의 성공이 중요한 이유는 주요 경쟁사인 애플, 구글과 처음으로 정면 승부를 하는 시장이기 때문이다. 세계 모바일 결제 시장에서 누가 주도권을 쥐게 될지 엿볼 수 있다. 애플은 작년 10월 미국에서 애플페이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올해 7월 영국에서도 서비스에 들어갔다. 구글은 연내 미국을 시작으로 세계 시장에서 안드로이드페이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선제적 M&A·인재영입 주효삼성페이의 최대 장점은 범용성이다. 기존 상점이 대부분 보유한 ‘긁는 방식’의 마그네틱 신용카드 결제기에 스마트폰을 갖다 대면 결제되는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기술과 근접무선통신(NFC) 기술을 모두 적용했다. 미국 전체 유통점(1000만여 곳)의 약 85%에 이르는 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 애플페이 안드로이드페이 등 경쟁사 오프라인 모바일 결제는 NFC 방식만을 채택하고 있다. 미국에서 NFC 결제 단말기를 보유한 유통점은 약 100만곳에 불과하다.
적기에 MST 기술을 보유한 미국 루프페이를 인수한 것도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이 기술 덕택에 삼성페이의 핵심 경쟁력인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부사장은 최근 삼성전자 블로그에서 “삼성전자는 지난 수년간 서비스·콘텐츠·앱(응용프로그램)·소프트웨어를 집중적으로 개발해왔으며 이런 노력이 삼성페이의 기초가 됐다”고 말했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