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어머니, 내 유년의 윗목
입력
수정
지면A37
문철상 < 신협중앙회장 mcs@cu.co.kr >
신씨가 부른 ‘가을밤’은 아이에게 노래를 불러 주는 잔잔한 엄마의 목소리로 시작된다. 중반부터 아름답고 서정적인 신씨의 목소리가 애잔하게 심금을 울린다. 이 노래를 듣고 있노라면 필자 또한 어머니 생각에 눈시울이 붉어진다.누구나 어머니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은 각별할 것이다. 어머니의 품에서만큼은 각박한 세상에서 지친 몸과 마음을 따뜻하고 포근히 위로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얼마 전 신협 신입 직원 부모님 초청행사를 열었다. 새내기 직원들은 저마다 부모님께 보내는 동영상 편지에 그간의 은혜에 감사를 전하는 특별한 시간을 마련했다. 그날 많은 직원 중 유독 눈에 띄는 한 사람이 있었다. 세상을 떠난 아버지를 그리며 눈물을 흘리는 신입 직원이었다.
그 모습을 보며 필자 또한 오래전 어머니와의 옛 추억이 떠올라 덩달아 가슴이 뭉클해졌다. 필자의 어머니께서 어떻게 사셨는지는 기형도 시인의 ‘엄마 걱정’을 읽으면 떠올릴 수 있다.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춧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한 빗소리/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그랬다. 세상의 전부와도 같았던 어머니의 부재는 무척 두려웠다. 비록 오래된 일이라 희미해지긴 했지만 어릴 때 어머니가 오시길 기다리는 그 기나긴 시간은 마치 끝나지 않을 것만 같아 무서웠다. 그 아련한 기억 속의 어머니를 홀로 불러 보는 아들은 이제 60대가 됐다. 하지만 아직도 서늘한 유년의 윗목에 머물고 있다.
단풍이 붉게 물들어갈 가을날, 부모님의 손을 잡고 낙엽이 바스락거리는 가로수길을 함께 거닐어보는 건 어떨까. 켜켜이 쌓여가는 낙엽처럼, 부모님과 함께하는 시간은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아름다운 추억이자 인생의 따사로운 아랫목이 돼줄 것이다.
문철상 < 신협중앙회장 mcs@c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