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청영장 논란 1년 만에 '카톡 대화' 제공하기로
입력
수정
지면A33
카카오, 단체방 수사 비대상자 익명 처리카카오가 지난해 10월 ‘카카오톡 감청’ 논란이 빚어진 이후 전면 거부했던 감청영장(통신제한조치)을 다시 받아들이기로 했다. 감청영장 불응 결정을 한 지 1년 만이다.
카카오는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른 통신제한조치에 응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다만 단체대화방의 경우 수사 대상자를 제외한 나머지 대화 참여자는 익명으로 처리해 자료를 제공하기로 하는 등 절차를 강화했다.
검찰은 익명 처리된 사람 중 수사과정에서 범죄 관련성이 있는 사람이 발견될 경우에 한해 대상자를 특정해 추가로 전화번호를 요청하게 된다. 회사 측은 단체대화방에 참여했다는 이유만으로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가 그대로 수사기관에 노출됐던 문제를 개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통신제한조치에 응하더라도 이용자가 비밀채팅으로 대화를 나눈 경우에는 수사기관에 제공할 수 있는 정보가 없다고 덧붙였다.
카카오는 지난해 10월 통신제한조치 협조 중단 이후 1년 동안 △카카오톡 메시지의 서버 저장기간 단축 △비밀채팅 모드 도입 △투명성보고서 발간 △프라이버시정책자문위원회 구성 등의 조치를 해왔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