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칼럼] 조선·해양 활로, 선제적 사업재편에 있다

"'부실폭탄'에 위기 맞은 조선·해양
구조조정 도울 企活法 제정 서둘러
미래 도약 위한 경쟁력 기반 다져야"

서영주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 >
한국의 주력산업은 후발국의 추격과 선진국 제조업의 부활이라는 샌드위치 환경 속에서 수출 부진, 생산성 저하, 영업 실적 악화, 투자활동 위축 등과 같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 최근에는 아베노믹스에 의한 엔화 약세에 힘입은 일본 기업과 기술력·구매력을 갖춘 중국 기업의 틈바구니에서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되는 ‘신(新)넛크래커’ 현상을 보이고 있다.

조선해양플랜트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정부 지원에 힘입은 중국과 엔저를 무기로 한 일본 조선산업의 부활이라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저가 물량공세와 일본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기술 경쟁에 내몰리고 있다.올 들어 8월까지 국내 조선소가 수주한 선박량은 740만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 이상 줄었다. 2008년(1800만)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일감(수주잔량) 역시 2008년 말에는 6700만을 확보하고 있었으나 지난 8월 말에는 3180만으로 크게 줄었다.

이런 수주량, 일감 감소에도 불구하고 인력은 늘어 1인당 생산성은 2008년 114.8에서 2014년 말에는 75.2까지 하락했다. 더욱이 한국 조선사의 임금은 일본 주요 조선사의 임금을 넘어서고 있다. 일본 조선사들은 단카이 세대(일본 베이비붐 세대) 퇴진과 더불어 임금피크제 등의 적극적인 시행을 통해 인건비를 한국의 90% 수준까지 끌어내린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조선산업은 1990년 이래 한국의 5대 수출 품목이었으며, 작년에는 399억달러에 달하는 수출을 통해 무역수지 흑자에 두 번째로 큰 기여를 한 기간산업이다. 올해도 401억달러를 수출할 것으로 예상돼 작년 수출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대외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중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2025년 계획’을 통해 서비스업과 제조업이 조화를 이루는 완전한 선진국 경제를 지향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조선 해양플랜트 분야에서도 우량 조선사 목록인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대상 조선사로 60개사를 선정해 옥석을 가리고 있다.일본은 대형 중공업 조선부문 통합으로 대형 조선사를 축소하면서 2003년 이전 대형 8사 체제에서 2010년 이후 대형 5사 체제로 군살을 빼고 시장 환경에 대응 중이다. 특히 경쟁력 강화전략과 병행해 지난해 산업정책강화법 등 법을 개정해 기업들의 사업재편을 뒷받침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최근의 국제유가 하락, 낮은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율, 고급기술 인력 부족 등의 내적 여건 미성숙이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의 위상과 수익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도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절차 간소화, 관련규제 완화 등으로 사업재편을 촉진하고 대형화, 전문화, 신사업 진출 등을 통해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한편 고용안정과 수출확대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현재 국회에서 논의 중인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면 임금 상승과 생산성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소뿐만 아니라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는 중소·중견 기자재 업체들에도 새로운 성장의 기회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기업의 실적부진에 따른 막대한 공적 자금 투입을 막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하루속히 자발적 사업재편과 혁신 노력이 촉진돼 조선해양플랜트 산업을 비롯한 국내 주력 산업의 경쟁력이 획기적으로 제고돼 수출 확대, 투자 활성화, 고용창출,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등이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서영주 <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부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