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동구매' 지역주택조합 열풍
입력
수정
지면A1
11만가구 추진…2년새 10배

30일 국민권익위원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에서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지역주택조합 분양가구 수는 2만1431가구(33개 조합)에 이른다. 작년 연간 분양물량 1만5485가구를 이미 크게 뛰어넘었다. 집계를 시작한 2005년 이후 연간 기준으로도 최대치다. 지난 9월 말 현재 지방자치단체에 조합설립인가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곳도 126개 조합, 9만6084가구에 달해 전국적으로 11만여가구가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지역주택조합 사업이 크게 늘면서 적잖은 부작용도 생겨나고 있다. 서울 영등포구의 한 지역주택조합 아파트는 땅 확보가 늦어져 조합 설립 뒤 3년이 지났는데도 착공조차 못하고 있다. 부산 해운대 인근의 한 사업지에는 두 개의 조합추진위원회가 생겨 갈등을 빚는 것으로 알려졌다. 땅 매입이 마무리되지 않은 조합추진위원회 단계에서 조합원 모집이 가능해 중간에 사업이 지지부진하면 그 피해가 기존 조합원에게 그대로 전가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도 조합원 모집 승인제를 도입하는 등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보형/홍선표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