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w&Biz] 공안 → 기획 → 특수…정권 따라 바뀐 검찰총장 '인기 스펙'

노무현 정부 이후 검찰총장 10명 분석해보니

전공분야는
박근혜 정부, 채동욱·김진태·김수남 '정통 칼잡이' 3연속 낙점
이명박 정부 땐 '기획통' 두각

대통령과의 궁합은
한상대, MB와 고려대 동문
정상명은 노 전 대통령 사시 동기
왼쪽부터 한상대 전 검찰총장, 채동욱 전 검찰총장, 김수남 후보자
검찰총장 후보추천위원회에서 총장 후보자 4명을 추천한 지 이틀 만에 김수남 대검찰청 차장검사가 전격 내정되면서 청와대와 상당 수준 사전조율이 진행됐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법조계에선 “이미 예고된 검찰총장 후보였다”는 말까지 나온다. 검찰총장이 되기 위한 조건은 뭘까. 김 내정자와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검찰총장 9명 등 총 10명의 프로필을 비교 분석해봤다.

우선 최종 후보로 낙점될 당시 직책을 보면 서울고검장 출신(김진태, 채동욱, 김종빈)이 3명으로 가장 유리했다. 다음으로 대검차장(김수남·정상명)이 2명, 서울중앙지검장(한상대)과 법무연수원장(임채진), 대전(김준규)·대구(송광수) 고검장, 법무차관(김각영)이 1명씩이었다.
전공분야를 보면 기업이나 정치권의 대형비리 수사경험이 풍부한 ‘특수통’이 최근 들어 잇따라 발탁되고 있다. 김 후보자도 채동욱-김진태 총장의 ‘정통 칼잡이’ 계보를 잇고 있다는 점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폐지되기 이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에서 수사기획관 등을 역임하면서 탁월한 ‘칼솜씨’를 뽐냈다. 김 후보자는 중수부 시절 3과장을 지냈고, 현재 수사기획관을 대체하고 있는 서울중앙지검 3차장을 꿰차 일찌감치 총장 후보 물망에 올랐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기획통’ 출신이 총장 바통을 주고받았다. 임채진 전 총장은 법무부 검찰 1~4과를 섭렵한 뒤 검찰국장까지 역임했고 그 뒤를 이은 김준규, 한상대 전 총장도 법무실장을 지내는 등 법무부에서 잔뼈가 굵었다. 대검 공안부장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 출범 직후 취임 4개월 만에 옷을 벗은 김각영 전 총장 이후 ‘공안통’은 좀체 찾기 힘들어졌다.대통령과의 ‘궁합’도 맞아야 한다. 검찰총장이라는 직책은 대통령이 수반인 행정부 소속의 한 기관장이기 때문에 ‘코드인사’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현 정부에서 임명된 채동욱(서울), 김진태(경남 진주) 총장의 출신과 집권 후반기로 접어든 시기 등을 감안하면 이번에는 박근혜 대통령의 고향 TK(대구·경북) 출신이 유리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후보추천위는 4명 후보 중 2명을 TK 출신(김 후보자는 대구, 박성재 서울중앙지검장은 경북 청도)으로 추천했다. 한상대 전 총장은 이명박 대통령이 나온 고려대 출신이라는 프리미엄이 컸고, 정상명 전 총장은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7기)라는 게 강점으로 작용했다.

언론과의 원만한 관계는 플러스 알파로 작용할 수 있다. 김 후보자는 법무부에서 지금의 대변인 격인 정책홍보관리관을 지냈다. 대변인 출신 총장후보는 김 후보자가 처음이다. 대검 관계자는 “검찰 수사에 언론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대(對)언론 관계를 책임지는 대변인 출신에게 가점이 주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중요 변수에 운(運)을 빼놓을 수 없다. 검찰총장이라고 100% 실력에 좌우되진 않는다는 얘기다. 김 후보자는 마침 수원지검장으로 재직하던 시기에 터진 ‘이석기 내란음모 사건’을 무난하게 처리한 것이 청와대의 신임을 얻게 된 결정적 배경으로 꼽힌다.천성관 전 검찰총장 후보자가 수원지검장으로 있을 때 여간첩 원정화 사건 수사 결과를 직접 발표해 청와대의 눈에 띈 과정과 비슷하다는 지적이다. 천 전 후보자는 이후 서울중앙지검장, 검찰총장 후보까지 승승장구했지만 국회 인사청문회 하루 만에 ‘스폰서 의혹’을 받고 낙마했다. 김 후보자의 운은 어디까지 이어질지 지켜볼 일이다. 10명 총장(후보)의 출신 학교는 서울대 법대가 7명, 고려대 법대가 3명이며 임명 당시 평균 나이는 55.6세였다.

김병일 기자 kb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