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전략공천 하려면 나를 죽이고 …"
입력
수정
지면A6
새누리 '공천 갈등' 본격화새누리당의 20대 총선 공천 룰 갈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 룰 문제에 대해서는 결선투표를 도입하되 구체적 방법은 특위에서 논의하기로 하고 위원장은 사무총장이 맡기로 했다”고 밝혔다. 두 달여간 진통 끝에 공천 특별기구가 출범하게 됐지만 본격적인 갈등은 이제 시작이라는 것이 당 안팎의 공통된 평가다. 구체적인 공천 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폭발력이 큰 쟁점이 줄줄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결선투표제 도입…'물갈이' 신호
당장 전략공천과 현역 의원 ‘컷오프’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불출마를 선언한 김태호 최고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컷오프나 전략공천을 배제한 상태에서 공천 룰이 논의된다면 그들만의 잔치라는 폐쇄정치로 비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현역 의원이 불출마 선언을 더 많이 해야 한다. 집권 여당이 그런 모습을 강하게 보여주는 게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강조했다.이 발언은 “전략공천은 없다”고 여러 차례 못박은 김무성 대표를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많다. 전날 최고위원 전원이 참석한 비공개 만찬에서도 전략공천과 컷오프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김 대표는 “하려면 나를 죽이고 하라”고 반발했다.
새누리당이 도입하기로 한 결선투표제도 곳곳에 계파 충돌의 뇌관이 놓여 있다. 우선 시행 조건을 두고 김 대표 측은 1차 투표 결과 지지율 차가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에 결선투표를 치러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친박계(친박근혜)는 과반 획득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내각, 청와대 참모 인사들이 대거 출마를 준비하는 친박계로서는 ‘1 대 다’ 구도보다는 ‘1 대 1’ 구도가 지지층의 결집 효과를 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