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금리 인상하면 국내 가계·기업부채 부실화 우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면 한국의 장기금리가 따라 오르고 가계와 기업의 부채가 부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LG경제연구원의 이창선 수석연구위원과 최문박 책임연구원은 9일 '현실로 다가온 미국 금리 인상, 외환시장 불안보다 시중금리 상승 부담'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최근 미국의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임에 따라 연방준비제도가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이 연구위원과 최 연구원은 "미국의 정책금리 인상 이후에도 우리나라의 단기 정책금리는 당분간 국내경기, 물가 상황에 근거해 미국과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지만 장기금리는 상승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또한 국내 경기 개선과 이에 따른 가계의 소득 및 기업수익의 증가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외부적인 요인으로 가계나 기업의 이자 부담이 증가하면 부채의 부실 문제가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한국과 미국의 장기금리는 함께 움직이는 경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미국 금리의 단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1일물과 3개월물 금리의 상관계수는 0에 가깝지만 3년물은 0.18, 10년물은 0.50으로 높아졌다.

글로벌 위기 이전에 양국의 장기금리 상관계수 0.21과 비교하면 연계성이 커졌다.특히 글로벌 위기 이후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이 1% 포인트 변하면 국내의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0.42% 포인트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국내 장기금리가 상승할 경우 부실한 업종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금리 부담이 커진다.

변동금리 대출을 받았거나 신규로 대출을 받을 가계도 이자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이 연구위원과 최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시장에 불안을 가져올 가능성은 과거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때 52%나 됐던 단기외채 비율이 현재 29%로 낮아지면서 외채의 구조적 취약성이 크게 개선됐다는 점에서다.

3696억달러(10월 말 기준)의 외환보유액과 연간 1000억 달러 이상의 경상수지 흑자로 외환 방어벽도 튼튼하다는 것이다.

또 국내 채권시장에서 단기간에 외국인 자금이 대규모로 이탈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말 현재 외국인 투자자들이 보유한 국내 채권의 규모는 102조원으로 전체 채권 잔액의 6.6% 수준이고 외국인 자금 중에는 연기금, 중앙은행 등 장기투자 성격의 비중이 크다.

다만, 미국의 금리 인상이 중국 경제의 경착륙, 신흥국 경제의 악화 등 다른 대외 충격과 겹치면 국내 금융시장이 받을 파급 효과가 증폭될 것이라고 이 연구위원과 최 연구원은 지적했다.[정몽구 회장의 고심…내년 사업계획에 촉각], [신동주 "롯데제과 지분, 추가 확대 계획 없다"][메이크업아티스트 브랜드 '뉴웨이브'…세계 향한다], [몸집 키운 아모레, 조직 체계화 나섰다…이니스프리 강화], [1000만 서울시민 ‘곳간지킴이’ 신언근 서울시의회 예결위원장 "청년수당, 당적 떠나 냉철하게 평가"]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