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의 마법'…냄새 나던 마을을 친환경마을로
입력
수정
지면A16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 준공
환경부·강원도 등과 협력
가스 정제·태양광 시설 가동
UN기후변화협약 선제대응


소매곡리의 변신은 1년 만에 이뤄졌다. 환경부와 강원도, 홍천군, SK E&S, 강원도시가스가 친환경에너지타운 사업을 시작하면서다. 정부는 지난해 1월 친환경에너지타운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고, 5월 이 마을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공사는 지난해 10월부터 시작됐다.
환경부와 SK E&S 등은 10일 준공식을 열고 친환경에너지타운 가동에 본격적으로 들어갔다. 친환경에너지타운 가동은 소매곡리가 국내 최초다.가축분뇨처리장에는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에서 나오는 가스를 도시가스로 정제하는 설비가 설치됐다. 여기에서 연간 60만㎥의 도시가스가 생산되며 마을 주민에게 공급된다. 마을 주민들은 1년에 가구당 91만원의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마을 전체적으로는 연간 4200만원의 가스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가축분뇨와 음식물찌꺼기를 퇴비와 액비로 바꾸는 시설도 생겼다. 만들어진 퇴비와 액비는 판매해 마을공동기금으로 활용한다. 연간 5200만원의 수익이 생길 전망이다.
하수처리장에는 340㎾급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됐다. 처리장 방류수를 활용하는 소수력발전 시설도 생겼다. 소매곡리는 생산한 전력을 판매해 연간 5200만원의 수익을 거둘 수 있다. 이들 시설에서 생기는 수익금은 연간 1억4600만원 규모에 달한다. 이들 시설에는 악취를 차단하는 설비도 추가됐다.SK E&S와 자회사인 강원도시가스는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에서 나오는 가스를 도시가스로 정제해 마을 주민에게 공급하는 일을 맡았다.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비용 10억원을 지원하기도 했다.
SK 관계자는 “SK그룹은 제주 가시리 풍력발전단지 조성, 세종창조마을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등 다양한 친환경사업을 펼치고 있다”며 “앞으로도 UN기후변화협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사업을 발굴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