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6개월째 금리 연 1.5% 동결, "미국 금리인상보다 신흥국이 더 걱정…가계부채 대책 빨리 시행해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는 10일 “미국 금리 인상보다 더 우려되는 것은 취약 신흥국의 위기가 다른 국가로 확산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통화위원회 전체회의가 끝난 뒤 연 기자간담회에서다. 이날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다.

다음주로 예상되는 미 금리 인상 자체는 한국 경제에 큰 충격을 주지 않을 것으로 진단했다. 이 총재는 “(미 금리 인상이) 곧바로 한은의 금리 인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며 “미 금리 인상은 시장에 상당 부분 반영됐고 (인상) 속도도 완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을 포함해 다른 나라들이 대응하는 데 시간적 여유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신흥국의 경제상황에 대해서는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신흥국발(發) 금융 불안이 높아진다면 정부와 협의해서 안정화 조치를 시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가계부채 등 위험 관리를 강조한 데 대해서는 동조의 뜻을 밝혔다. 그는 “총부채상환비율(DTI)·담보인정비율(LTV) 규제를 완화한 뒤 가계부채가 소득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했다”며 “가계부채 증가 대책은 조속히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다만 부동산 공급 과잉으로 경기가 급랭할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했다.

정부 소비촉진책이 끝나면 소비가 꺾일 것이라는 우려에도 “임금이 꾸준히 상승했고 물가 하락으로 실질구매력이 높아진 만큼 ‘소비절벽’까지 우려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추가로 하향 조정할 가능성은 열어뒀다. 이 총재는 “지난 10월에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한 뒤 여건 변화가 있었다”며 “예상외의 저유가가 내년 경제의 하방 위험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10월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3%에서 3.2%로 내렸다. 금통위의 통화정책 결정회의 횟수를 연 12회에서 8회로 축소하는 방안과 관련해서는 “국제 관행에 따라 진지하게 검토 중”이라며 “도입한다면 내년 이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