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려한 임시직원'…임원의 세계

1000명 중 7.4명만 등극…'월급쟁이의 별'
1~2년만에 옷 벗기도
기업과 금융회사 임원은 ‘별’로 불린다. 되기가 ‘하늘의 별 따기’만큼이나 어렵다. 대졸 신입사원 1000명 중 임원이 되는 사람은 7.4명(한국경영자총협회·2014년 기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일단 되고 나면 신분이 달라진다. 급여가 두 배 안팎으로 뛴다. 자동차도 받는다. 법인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사무실 집기가 바뀌고 기업에 따라선 전용 사무실도 나온다. 부장 때와 비교해 많게는 100여가지가 달라진다는 얘기도 있다. 오래전부터 ‘월급쟁이의 꿈’으로 불린 이유다.그렇다고 모든 것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출근 시간이 빨라진다. 참석해야 할 회의와 봐야 할 보고서가 폭증한다. 책임도 커진다. 실적이 나쁘거나, 사고가 터지면 언제라도 ‘옷 벗을’ 각오를 해야 한다.

최근엔 한 가지 특징이 더해졌다. ‘단명(短命)’이다. 이달 초 이뤄진 삼성그룹 임원인사에서 새로 상무가 된 사람은 197명이다. 퇴임한 임원은 500명이 넘는다고 한다. 임원이 된 지 1~2년밖에 안 된 사람도 상당수 옷을 벗었다.

다른 회사도 다르지 않다. 불황 여파로 임원 승진 1~2년 만에 짐을 싸는 사람이 상당수다. 임원이 되면 최소 3년을 보장하던 몇 년 전과는 판이하다. ‘임시 직원’인 임원이 가장 쉬운 구조조정 대상이 됐다는 얘기도 나온다.박형철 머서코리아 사장은 “권한 못지않게 책임이 커지고, 화려하지만 불안한 것이 기업 임원의 두 얼굴”이라고 말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