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구글코리아 음란물 차단 의지 있나
입력
수정
지면A38
이호기 IT과학부 기자 hglee@hankyung.com

하지만 도입 취지와 달리 불편하다는 지적이 쏟아졌다. 학술 목적의 검색이 어려워졌다는 불평도 나왔다. 일각에서는 정부 검열이 시작된 게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구글코리아 측은 당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세이프 서치를 한국어 사이트에 전면 적용한 것은 ‘테스트’ 차원이었고 옵션 기능을 없앤 것은 실무진의 단순 실수라고 해명했다.구글코리아는 결국 1주일 만에 ‘원상 복구’를 선택했다. 구글코리아 관계자는 “본사에서 오류를 인지하고 이를 신속하게 바로잡기 위해 원래 상태로 되돌리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이프 서치 기능을 옵션으로 바꾸면서 구글에서는 예전처럼 성인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트위터 주소 등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네이버나 다음 등 국내 포털 사이트에서는 관련 게시물을 검색하기 어려운 것과는 확연히 다르다.
국내 정보기술(IT)업계에서는 구글코리아 측이 음란물 차단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한 포털사이트 관계자는 “세이프 서치를 적용하더라도 이를 쉽게 무력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많은데다 옵션을 제공해 논란을 잠재울 수도 있었다”며 “검열 논란이 제기되자마자 원상 복구 조치를 내린 것은 아쉽다”고 지적했다.구글은 2010년 사전 검열을 요구하는 중국 정부와 갈등을 빚은 끝에 시장에서 아예 철수하는 결정을 내렸다. ‘표현의 자유’라는 대원칙을 거스르지 않으려는 구글에 검열 논란은 적잖은 부담일 수 있다. 하지만 각종 유해 사이트로부터 국내 미성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운영의 묘’를 발휘해주길 기대해본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