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정 과실연 신임 상임대표 "한국형 민간 싱크탱크로 환골탈태하겠다"

“임금피크제로 급격히 떨어진 정부 출연연구기관 연구원들의 사기를 진작하고 미래 과학계를 이끌 젊은 과학자들의 목소리를 더 많이 내겠습니다.”

과학자들과 시민들의 모임인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 신임 상임대표에 취임한 오세정 서울대 교수(전 기초과학연구원장·사진)는 29일 “과학기술계 목소리를 담은 성명서를 내는 단체 성격에서 벗어나 먼 미래를 내다보는 강력한 민간 싱크탱크로 환골탈태하겠다”고 말했다.오 교수는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과실연 창립 10주년 기념식에서 회원 657명이 추천한 7명 후보 가운데 가장 많은 표를 얻어 임기 2년의 제6대 상임대표에 선출됐다.

오 신임 상임대표는 “최근 문·이과 통합 등 과학교육의 파행이 예상되고 통일 준비 과정에서 과학계가 완전히 배제돼 있는 등 과학기술계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미국의 과학정책을 주도하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처럼 길게 보고 깊이 있는 의견을 내는 한국형 민간 싱크탱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그는 “무엇보다 과실연 조직의 저변의 폭을 넓혀야 한다”며 “젊은 과학자 등 각계각층을 끌어들여 재정적 자립과 과실연 외연을 높이는 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과실연은 이날 내년 주목할 10대 과학계 이슈를 발표하면서 ‘미래창조과학부의 존폐론 확산’을 이슈로 꼽았다. 오 상임대표는 “과학을 교육과도 붙여봤고, 이번엔 정보통신 쪽과도 합쳐봤지만 정책의 진전을 보지 못했다”며 “1~2년간 정책 연구를 통해 합리적인 거버넌스 형태에 대한 입장을 내겠다”고 말했다.

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