툭하면 사장 공백…인천공항, 예고된 '수하물 먹통'
입력
수정
지면A29
승객 짐 5200개 지각운송…흔들리는 '1위 공항'인천공항이 사상 초유의 ‘수하물 실종사태’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사상 최다 이용객(17만6432명)이 몰린 지난 3일 수하물처리시스템(BHS) 오작동으로 159편의 항공기가 5200여개의 여행객 수하물을 싣지 못하고 출발한 것이다. 승객들은 큰 불편을 겪었다. 인천공항공사는 사고가 난 지 3일이 지났지만 정확한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환승률이 떨어지면서 중국 싱가포르 공항들에 추격을 당하는 상황에서 벌어진 어처구니없는 악재다. 이번 사태로 글로벌 허브공항으로서의 입지가 더 흔들릴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원인규명 못한 채 책임공방
공사 "비규격 수하물로 오류…운영인력 충분히 배치 못해"
항공사는 손해배상 청구 검토
잦은 수장 사퇴…화 불러
정권 보은인사로 앉은 사장들, 선거판 뛰어들며 경영 공백
발전전략 못 세워 입지 '흔들'
항공기에 싣지 못한 수하물은 5200여개로 여행객 1인당 평균 1.03개의 수하물을 부치는 것을 감안하면 약 5000명이 도착지에서 여행가방을 찾지 못한 것이다. 세계 각지에서 항의전화가 빗발쳤다. 항공사들은 다른 항공편을 이용해 뒤늦게 수하물을 나르고 있다. 그나마 매일 운항하는 노선은 이날 짐 처리를 완료했지만, 주 2~3회 운항하는 노선은 항공편이 없어 아직까지 일부 짐이 남아 있는 상태다.
인천공항공사는 사고 원인을 규명하지 못한 채 수하물 실종 사태를 놓고 항공사들과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5일 “출국 여행객이 8만7365명으로 개항 이래 가장 많았던 데다 박스·비닐포장 등 비규격 수하물이 많아 센서가 오작동하면서 수작업을 할 수밖에 없어 출발 지연 및 수하물 누락 사태가 발생했다”며 “사상 최대 여객에 대비해 운영인력을 사전에 충분히 배치하지 못한 점도 원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항공사들은 이번 사고는 인천공항에 책임이 있다며 손해배상 청구를 검토하고 있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매년 가끔 수하물 운반벨트에서 센서가 오작동을 일으켰음에도 공사 측은 원인 파악을 하지 않았다”며 “또 사고 당일에는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항공사와 지상조업사들은 더욱 혼란스러웠다”고 지적했다.당장 다가오는 설 연휴에 똑같은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연휴 마지막 날인 내달 10일에는 17만7000여명이 인천공항을 이용할 예정이다.
이번 사태로 그동안 인천공항이 받아온 찬사가 무색해졌다. 인천공항은 2005년 개항 이래 10년 연속 세계 공항서비스평가(ASQ)에서 1위를 차지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출국 전 과정 자동화서비스’로 정부3.0 정책 우수사례로 선정돼 국무총리상을 수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는 인천공항이 그동안 찬사에 취해 발전전략을 제때 세우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는 “인천공항이 제2터미널공사 등 3단계 공사를 내년 말까지 완공하겠다고 하지만 그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당장 여객·수하물 급증에 따른 시스템 개편 등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주문했다.
사상 초유의 수하물 실종 사태가 최근 잦은 사장 공백과 무관치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근혜 정부 들어 2013년 6월 임명된 정창수 전 사장은 취임 9개월 만에 강원지사 출마를 위해 사표를 냈고, 이후 7개월간 인천공항공사 사장 자리는 비어 있었다. 경영 공백이 생긴 이 기간에 인천공항에는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면세점, 은행, 식음료 매장 등 시설 입찰이 6개월이나 지연되면서 공항 수입 감소는 물론 공항 이용객은 가판대 같은 면세점과 편의시설을 이용해야 했다.2014년 10월 창원시장을 지낸 박완수 전 사장이 취임했지만 이렇다 할 발전전략을 내놓지 못하고 결국 1년2개월 만에 총선 출마를 위해 또다시 사표를 냈다.
약 10개월 만에 두 차례나 수장이 바뀌는 과정에서 글로벌 허브공항으로서의 입지가 흔들렸다. 허브공항의 잣대인 환승률은 2013년 18.7%를 정점으로 지난해 11월에는 15.2%까지 떨어졌고, 인천공항이 독보적 1위였던 공항서비스평가에서도 중국 베이징 서우두공항, 상하이 푸둥공항, 싱가포르 창이공항 등이 턱밑까지 쫓아왔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공항 경영과 무관한 인사가 수장 자리에 앉는 것도 문제지만 더 심각한 것은 이들이 인천공항을 그저 거쳐가는 자리라고 생각한다는 것”이라며 “인천공항공사가 정권의 ‘낙하산 놀이터’로 불리는 이유”라고 말했다.
백승현/인천=김인완 기자 arg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