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정치 난무하는 국민연금 CIO 선정
입력
수정
지면A34
좌동욱 증권부 기자 leftking@hankyung.com“제가 뭣하러 들러리를 서겠습니까.”
![](https://img.hankyung.com/photo/201601/AA.11123041.1.jpg)
국민연금 CIO는 내로라하는 글로벌 자본시장의 중량급 인사들도 명함 한 장을 받으려고 안달하는 자리다. 현직에서 한창 주가를 올리는 ‘선수’들이 서로 하겠다고 경합을 벌일 법한 자리다.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다. 강면욱 전 메리츠자산운용 대표, 권재완 AJ인베스트먼트 대표, 이동익 전 한국투자공사(KIC) 대표, 정재호 유진PE 대표(이상 가나다 순) 등 네 명이 최종 후보에 올라 있다. 자산 운용업 현직에서 물러났거나, 물러난 뒤 신생 사모펀드(PEF) 운용사로 갈아탄 사람들이다. 투자자들이 서로 돈을 맡기고 싶어 하는 현직 운용 전문가는 없다. 물론 현직에서 물러났다고, 현직의 성격이 다르다고 ‘감’이 떨어진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문제는 정치적 줄이 없으면 국민연금 CIO가 될 수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민간의 유능한 인재들이 자취를 감춘 것을 보면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퇴임 후 3년간 국내 관련 기업 및 금융회사 재취업을 막고 있는 공직자윤리법도 적지 않은 걸림돌이다. 임기(2+1년)를 마친 뒤에 3년을 쉬어야 하는 상황에서 역량 있는 전문가들의 경합을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국민연금법(31조)에 따르면 CIO는 경영·경제 및 기금 운용에 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해야 한다.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는 해외 투자와 대체 투자 경험도 갖춰야 한다. 과연 최종 후보 네 명 가운데 스스로 이런 요건을 갖췄다고 자부할 수 있는 사람이 있을까. 유력하다는 후보들의 전문성을 평가하기보다 정치적 연줄만 따져보고 있지 않은가. 이렇게 뽑힌 새 CIO가 5000만 국민들의 노후를 보살핀다니,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좌동욱 증권부 기자 leftking@hankyung.com